그래픽 디자이너이자 서퍼, 황희현의 ‘스탠스(stance)’와 ‘스페이스(space)’
빵집 ‘성심당’이 있는 바로 그곳, 대전
노트폴리오 홍제용·송진석 interVIEW in 2013 / afterVIEW in 2022
근대와 현대가 포개져 흐르는 시간, 군산
타이포그래피 소모임 한글꼴연구회가 ‘종이 밖으로’ 향하려는 까닭
‘이유 있는 저력의 도시’ 대구
윤디자인그룹 편석훈 회장의 1990년대 ‘윤폰트’ 리뷰 — 삼국시대 시리즈 [신라]
패션·F&B 브랜딩에 주력하는 그래픽 디자인 스튜디오 ‘강과 돌(River and Rock)’
봄날 광주를 채운 글자들 혹은 기억들
디자인은 정치 현상의 동인이 된다 = 디자인은 대중의 정치적 행동을 일으킨다
바다 냄새, 사람 냄새 묻어나는 여수의 글자들
우크라이나에 대한 관심은 자연스럽게 ‘우크라이나의 디자이너들과 스튜디오들’로 이어졌다. 그들은 어떤 작업을 할까, 어떤 클라이언트들과 일할까, 몇 명이서 일할까, 다들 어떻게 생겼을까, 다들 잘 지내고 있을까
그래픽 디자이너 양정은이 ‘진짜 내 것’을 찾기 위해 노력하는 것들
TS 서포터즈(2014~2015) 및 TS 파트너즈(2020~현재) 총정리: ‘서포터’에서 ‘파트너’로 바뀐 이유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은 있다/없다 따지는 당신, 대관절 ‘새로움’이란 뭐라고 생각하나
발견되길 기다리는, 우리 일상 곳곳의 글자들을 찾아가는 여정
디자인 작업을 시작하기 전 ‘평면과 입체의 시각적 동기화’를 고민해야 하는 이유
윤디자인그룹 편석훈 회장의 1990년대 ‘윤폰트’ 리뷰 — 레트로 혹은 클래식, 타자기 글자꼴 [회상]
‘너와나의 티키타카’ 프로젝트의 완성
『타이포그래피 서울』 새 시리즈 [한동훈의 글자발견] 시작하는 서체 디자이너 한동훈 “글쓰기와 글자 짓기는 비슷해요”
2년째 지속 중인 ‘비대면 인터뷰’에 대한 변, 그리고 인터뷰이와 독자 여러분에의 감사
그래픽 디자이너 겸 프론트엔드 개발자의 고민: 디지털의 ‘비물질성’ 극복하기
TS 파트너즈가 기념한 575돌 한글날: 한글 타이포그래피 포스터
‘대한민국 1세대 북 디자이너’ 정병규의 사진 책(photobook) 디자인 총람
넷플릭스와 외화 콘텐츠 타이틀의 ‘한글화’ 작업을 통해 배운 것
기존의 한글 디자인을 호리틱[이호+critic]하게 바라보기 ― 모든 시리즈 모아 보기
‘그라피코스’ 임신호에게는 꽤 중요한 세 키워드 #건축학도출신 #디자이너로_전직 #1989년생
‘당신의 사물은 매거진 한 권 분량만큼의 세계’ 체조스튜디오의 기획물 혹은 속삭임, 매거진 『사물함』
뮤지션 김사월의 앨범 커버 디자이너 김성구 “디자인 자체보다는 디자인으로 좋은 관계를 만드는 것이 좋다”
그래픽 디자이너 신동혁 interVIEW in 2012 / afterVIEW in 2021
치앙마이에서 체험하고 서울에서 본격화한 “느슨하고도 알찬” 디자이너 듀오의 일상
윤디자인그룹 편석훈 회장 저서 『한글 디자인 품과 격』 요약본 ― 고암(古岩) 정병례 선생의 전각을 디지털로 옮기다
기존의 한글 디자인을 호리틱[이호+critic]하게 바라보기 ― 하남문화재단 BI
‘부캐’가 ‘팡팡팡’! 한나은·박채현·조화라, 세 디자이너가 말하는 멀티 페르소나의 지속 가능성
디자인 미디어 『타이포그래피 서울』 × 디자인 교육 플랫폼 ‘리메인’ 공동제작 〈TS × 리메인 웨비나〉 ― 첫 번째 연사 ‘일상의실천’
윤디자인그룹 편석훈 회장 저서 『한글 디자인 품과 격』 요약본 ― 『타이포그래피 서울』이 단행본, 전시, 행사 등을 꾸준히 기획하는 이유
이수향과 하지훈, 두 ‘나’의 케미스트리― ‘우리’ 파이카
윤디자인그룹 편석훈 회장 저서 『한글 디자인 품과 격』 요약본 ― 『타이포그래피 서울』은 어떻게 시작되었나
터닝포인트란 절대로 갑자기 찾아오는 것이 아니다
납득할 만한 고지식함에는 ‘쿨(cool)’이 있다
나하나와의 대화는 마치 에스프레소 머신을 떠올리게 한다
5unday 신광·양재민·윤희대 interVIEW in 2013 / afterVIEW in 2021
소수적 가치를 다수적 일상으로 전달/전환하는 디자이너
학생 및 현업 디자이너로 구성된 2030 크리에이터 그룹 ‘TS 파트너즈’가 바라본 디자인 매체 『타이포그래피 서울』
하라 켄야의 스승 무카이 슈타로 “디자인의 대상은 생활 세계라는 구체적인 생의 현실 세계 형성이다”
서체와 타이포그래피를 브랜딩의 관점으로 바라보기
일상의실천 권준호·김경철·김어진 interVIEW in 2013 / afterVIEW in 2021
윤디자인그룹 편석훈 회장 저서 『한글 디자인 품과 격』 요약본 ― 본문체의 클래식 윤명조·윤고딕
뉴욕 한복판에서 온 힘을 다해 ‘규정’과 ‘고정’에서 벗어나기
어느 독립적 일개미의 군집생활과 디자인-열일에 관한 기록
중고득학생을 위한 서체 디자인 특성화 아카데미 ‘청소년타이포제작전문그룹’
“수없이 ⌘+S를 누르며 같은 학교의 이름―파일명을 저장하며 지냈던 우리. 이제는 각기 다른 세상에서 저마다의 ⌘+⇧+S와 마주하게 된다.
스물아홉 살, 그래픽 디자이너로 전직하다
“결국 마지막 공이 결정타인 것처럼, SPARE― 스페어(spare)는 볼링 관련 용어로 한 프레임에서 2회의 투구로 10개 핀을 모두 쓰러뜨리는 것을 뜻한다.
국내 도서 중 디자인 분야는 문학, 역사, 자기계발, 경영 같은 타 분야에 비해 새 책 출간의 잦기가 적은 편이다. 그 덕분이라고 해야 할지, 여하간 디자인 신간은 한 권 한 권 눈에 잘 띈다.
기존의 한글 디자인을 호리틱[이호+critic]하게 바라보기 ― 안녕인사동 BI
그래픽과 글자의 연동 체계에 관한 포뮬러(formula)
VIVA와 RIUM은 각각 ‘만세’와 ‘전시관’이라는 의미도 내포하고 있는데, 이번 졸업전시회는 대학 생활의 끝을 축하하고 잠재력을 뽐내는 축제의 장이기도 하다.
조규형 InterVIEW in 2014 / afterVIEW in 2020
기술의 발전으로 우리는 초연결, 탈경계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igital Transformation) 시대를 맞이하였다.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에 디자인이 우리 사회를 위해 기여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
코로나 19 팬데믹 사태로 새롭게 구축된 기준인 ‘NEW Normal’. 이전과는 다른 새로운 질서를 모색해야 하는 시점이 다가오고 있다.
둘+셋 말고, 둘×셋도 말고, 꼭 ‘둘셋’이어야 하는 이유
‘평생 직업’으로서의 디자인을 향하여
건축저작물과 사진저작물의 법적 차이 ― 언론학 박사 손수호의 ‘크리에이터를 위한 저작권 상식’ 강의
이번 아트앤디자인학과의 전시는 총 95명의 학생들이 참가했습니다. 분야는 6개 분야로, 브랜딩 25명, 웹모바일[UX/UI] 9명, 일러스트 35명, 회화 12명, 영상 10명, 편집 4명 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일찍이 수달은 저작권 공유 문화를 실천했노라 ― 언론학 박사 손수호의 ‘크리에이터를 위한 저작권 상식’ 강의
2020년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학부 메이데이 전시는 처음으로 온라인으로 진행됩니다. 이번 전시는 북 아트 18명, 미디어 아트 6팀, 기초 프로덕트 디자인 4팀, 그리고 인테리어 디자인 8명 등 총 36팀 61명이 참여했습니다.
땅(DD)·불(B)·바람(B)·물(M)·마음(M)을 생각하는 스튜디오 DDBBMM
〈골든타임 에피소드〉에는 총 39명의 학생이 참가했습니다. 졸업 전시의 기획 및 콘셉트, 디자인은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과 교수님들과 제35회 졸업전시준비위원회(이하 졸준위) 팀원들이 담당하였습니다.
혼자만의 버팀 말고, 누군가의 버팀목
물리적 공간을 두지 않는, 스튜디오 없는 스튜디오 ‘Remote’
신덕호 InterVIEW in 2014 / afterVIEW in 2020
FM과 보수성으로 지속하는 크리에이티비티란
“레퍼런스를 깔아두고 작업하지 않는다”
정제일 interVIEW in 2013 / afterVIEW in 2020
오래 함께하기 위해 오래오래 노력해야 할 것들
서희선 interVIEW in 2015 / afterVIEW in 2020
서로 다른 것들의 접점을 만든다, 그 접점으로써 새로운 무언가를 생성한다
저작물을 올바르게 이용하는 방법 ― 김기태 교수가 알려주는 미디어 저작권 상식
윤재오 interVIEW in 2013 / afterVIEW in 2020
임의, 우연, 무작위라는 아름다운 패턴
그래픽 디자이너의 성장 현상(phenomena)을 위한 알맞은 온도란
“틀 또는 프레임은 어떻게 여기든 유의미하다”
과녁을 나의 바깥이 아니라 안에 두는 태도, 혹은 디자인
오디너리피플 interVIEW in 2017 / afterVIEW in 2020
이성균 interVIEW in 2014 / afterVIEW in 2020
스팍스 에디션 interVIEW in 2014 / afterVIEW in 2020
법학박사 하동철과 함께 알아보는 우리 일상 속 저작권 ― ‘필라델피아 스카이라인’ 이슈 톺아보기
시카고에서 그래픽 디자이너로 살며 그래픽 디자인을 가르친다는 것
소소문구 interVIEW in 2016 / afterVIEW in 2020
글자 만드는 김태룡의 자신감, 또는 자신에 대한 감
권기영 interVIEW in 2016 / afterVIEW in 2020
문상현 interVIEW in 2014 / afterVIEW in 2020
법학박사 하동철과 함께 알아보는 우리 일상 속 저작권 ― AI 아티스트도 저작권자일까?
‘Now we rise’ 정길웅 interVIEW in 2016 / afterVIEW in 2020
법학박사 하동철과 함께 알아보는 우리 일상 속 저작권 ― 음악 저작권법 바로 알기
양장점을 ‘양(양희재)·장(장수영)’과 ‘(상)점’으로 나눠본 인터뷰
그룹전 〈XYZ BOX〉 개최한 홍익대 박사과정 모임 ‘모노그래픽’
20주년 기념전 개최한 캘리그래퍼 이상현
그래픽 디자인 스튜디오 겸 출판사 ‘프레스룸’의 시작은 독서 모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