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절’과 ‘저작권 침해’의 법적 차이 ― 김기태 교수가 알려주는 미디어 저작권 상식
2020년 04월 10일
법학박사 하동철과 함께 알아보는 우리 일상 속 저작권 ― 사진 저작물이 되는 조건
2020년 03월 27일
법학박사 하동철과 함께 알아보는 우리 일상 속 저작권 ― 저작물 ‘잠깐 사용’의 법적 허용 기준
2020년 03월 20일
법학박사 하동철과 함께 알아보는 우리 일상 속 저작권 ― 노래방 저작권 상식
2020년 03월 13일
법학박사 하동철과 함께 알아보는 우리 일상 속 저작권 ― ‘저작인격권’을 아시나요?
2020년 03월 06일
법학박사 하동철과 함께 알아보는 우리 일상 속 저작권 ― ‘필라델피아 스카이라인’ 이슈 톺아보기
2020년 02월 28일
법학박사 하동철과 함께 알아보는 우리 일상 속 저작권 ― ‘짧은 문구’가 저작권을 가지려면
2020년 02월 21일
법학박사 하동철과 함께 알아보는 우리 일상 속 저작권 ― ‘매절계약’은 어쩌다 관행이 되었나
2020년 02월 14일
법학박사 하동철과 함께 알아보는 우리 일상 속 저작권 ― 춤 저작권 알아보기
2020년 02월 07일
법학박사 하동철과 함께 알아보는 우리 일상 속 저작권 ― 초상권과 같은 듯 다른 ‘퍼블리시티권’
2020년 01월 31일
법학박사 하동철과 함께 알아보는 우리 일상 속 저작권 ― 실용품 저작권의 기원
2020년 01월 17일
법학박사 하동철과 함께 알아보는 우리 일상 속 저작권 ― AI 아티스트도 저작권자일까?
2020년 01월 10일
법학박사 하동철과 함께 알아보는 우리 일상 속 저작권 ― 디지털 저작물의 ‘중고 거래’
2020년 01월 03일
법학박사 하동철과 함께 알아보는 우리 일상 속 저작권 ― 음악 저작권법 바로 알기
2019년 12월 27일
윤디자인그룹은 570돌 한글날을 맞아 10월 7일(금)~12월 9일(금)까지 '2016 희망한글나무' 캠페인을 진행한다.
2016년 10월 07일
디자인 비평(design criticism)이란 디자인에 대한 가치판단(design evaluation)이다. 다만 그것은 어떤 객관적인 지표에 따라서 이루어지는 계량적인 평가가 아니라 담론과 해석에 의한 가치판단이다.
2016년 10월 05일
생각이라는 건 항상 막연한 이미지로 떠오른다. 어떤 글자가 정확히 떠오르기보다는, 역시 이미지에 가깝다고 할까. 이런 이미지를 심상이라고 하는데 변기를 예술품으로 만든 뒤샹은 예술에서 심상이 중요할 뿐 그 수단은 어떤 것이든 상관없다고 했다.
2016년 09월 20일
공공디자인은 공공의 사용을 위해 만들어진 제품, 환경, 정보를 망라하는 개념이다. 그런데도 흔히 공원 벤치, 가로등, 거리 간판과 같은 대상물을 디자인하는 것으로 설명되곤 한다.
2016년 08월 17일
얼마 전 한 인터뷰에서 이런 질문을 받았다. “평소 어떤 과정을 거쳐 작업하는지 궁금합니다.” 이 질문에 “저의 작업은 보여주고 싶은 단어를 하나 골라 수백, 수천 가지 이미지 중 하나와 적절히 연결해주는 코디네이터와 유사합니다.”라고 말했다.
2016년 07월 27일
북 디자인을 시작하면 국배판, 신국판, 46배판 등의 판형을 뜻하는 용어를 제일 먼저 듣게 된다. 선배를 통해 그 정확한 사이즈를 알게 되지만 왜 그런 이름이 붙게 되었는지는 전혀 모르고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다.
2016년 07월 1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