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e Loupe _ intro
낱자를 이루는 요소들은 어떤 명칭을 가지고 있을까? 우리가 책을 읽을 때 글자는 낱말로 조합된 문장 안에 있다. 그리고 낱말은 낱자의 합으로 만들어진다. 낱자를 해부하였을 때, 우리는 낱자를 이루는 각 요소들을 볼 수 있게 된다. 『타이포그래피 서울』의 연재 코너 「타입확대경(Type Loupe)」을 통해 이 해부된 요소들을 같이 확대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려 한다.
* 낱자: 하나의 닿소리 글자나 홀소리 글자. 낱내를 나타내는 낱낱의 글자.(『한글글꼴용어사전』)
![](http://typographyseoul.com/wp-content/uploads/2022/11/2021-03-24-review-Type-Loupe-33_01.jpg)
지난 회 ‘Crossbar(크로스바)’에 이어, 이번 회에서는 ‘Arm(암)’에 대해 알아본다. ‘Arm’은 한글 요소 중 기둥에 해당하는 세로획을 기준으로 획의 한쪽 끝이(혹은 양쪽 끝이) 연결되지 않고 수평을 가지거나, 오른쪽으로 상승하는 획을 말한다. 보여지는 문자로는 ‘E, F, K, T, V, Y’ 등이 있다.
![](http://typographyseoul.com/wp-content/uploads/2022/11/2021-03-24-review-Type-Loupe-33_02.jpg)
Arm은 중심이 되는 획(기둥 혹은 그에 준하는 획)에서 뻗어나오며, Serif 계열 폰트에서는 중심획보다 시각적으로 얇은 굵기를 가지고 있다.
![](http://typographyseoul.com/wp-content/uploads/2022/11/2021-03-24-review-Type-Loupe-33_03.jpg)
수평의 Arm은 몸에서 팔을 옆으로 든 모습으로, 사선의 Arm은 수평 상태에서 팔을 위로 든 모습으로 상상하면 쉽게 요소의 명칭을 이해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