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e Loupe _ intro 낱자를 이루는 요소들은 어떤 명칭을 가지고 있을까? 우리가 책을 읽을 때 글자는 낱말로 조합된 문장 안에 있다. 그리고 낱말은 낱자의 합으로 만들어진다. 낱자를 해부하였을 때, 우리는 낱자를 이루는 각 요소들을 볼 수 있게 된다. 『타이포그래피 서울』의 연재 코너 「타입확대경(Type Loupe)」을 통해 이 해부된 요소들을 같이 확대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려 한다. * 낱자: 하나의 닿소리 글자나 홀소리 글자. 낱내를 나타내는 낱낱의 글자.(『한글글꼴용어사전』)
![](https://typographyseoul.com/wp-content/uploads/2023/03/57_ts_Body_01.jpg)
지난 회 ‘Axis(엑시스)’에 이어, 이번 회에서 ‘Overshoot(오버슛)’에 대해 알아본다. ‘Overshoot’은 시각적으로 균질한 문자 크기를 위해, 기준이 되는 가이드라인을 벗어난 글자의 일부 면적을 말한다.
![](https://typographyseoul.com/wp-content/uploads/2023/03/57_ts_Body_02.jpg)
Overshoot은 ‘Baseline’을 기준으로 나열되는 문자들의 부피를 시각적으로 균질하게 만들어주는데, 글꼴 제작자에게는 필수적인 시각보정의 기법으로써 절대 놓치지 말아야 할 중요한 요소이다.
![](https://typographyseoul.com/wp-content/uploads/2023/03/57_ts_Body_03.jpg)
Overshoot으로 인해 한 벌의 글꼴은 균질한 크기감을 얻어 불필요한 시각적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는다. 만약 Overshoot이 없는 경우, 원형의 형태를 가진 알파벳—[C], [O] 등—이나 뾰족한 형태를 가진 알파벳—[A]. [V] 등—은 [H]나 [X]와 같이 꽉 찬 모습의 다른 알파벳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글자 크기(부피)를 가지고 우리의 시선을 어지럽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