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ype Loupe _ intro 낱자를 이루는 요소들은 어떤 명칭을 가지고 있을까? 우리가 책을 읽을 때 글자는 낱말로 조합된 문장 안에 있다. 그리고 낱말은 낱자의 합으로 만들어진다. 낱자를 해부하였을 때, 우리는 낱자를 이루는 각 요소들을 볼 수 있게 된다. 『타이포그래피 서울』의 연재 코너 「타입확대경(Type Loupe)」을 통해 이 해부된 요소들을 같이 확대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려 한다. * 낱자: 하나의 닿소리 글자나 홀소리 글자. 낱내를 나타내는 낱낱의 글자.(『한글글꼴용어사전』)
![](https://typographyseoul.com/wp-content/uploads/2023/06/58_ts_Body_01.jpg)
지난 회 ‘Overshoot(오버슛)’에 이어, 이번 회에서는 ‘Italic(이탤릭)’에 대해 알아본다. ‘Italic’은 손글씨 양식 중 오른쪽으로 기울이며 흘려 쓴 형태의 글자꼴을 총칭하는 명칭으로, 대개 독자적인 손글씨 양식의 폰트나 본문용 라틴 알파벳의 글자 가족(type family) 구성원으로 제작된다.
![](https://typographyseoul.com/wp-content/uploads/2023/06/58_ts_Body_02.jpg)
Italic은 과거 하나의 글씨체 양식으로 조밀한 공간 사용이 가능한 경제적인 활자로 고안되었다고 하는데, 현재는 활자 가족을 이루는 글자꼴 중 하나로서 대조나 강조 등의 용도로 자주 활용되고 있다.
![](https://typographyseoul.com/wp-content/uploads/2023/06/58_ts_Body_03.jpg)
Italic은 글자 가족 내에서 정체(正體, 혹은 기준이 되는 스타일)로 불리는 ‘Roman(로만)’ 양식과 일부 요소를 공유하며, 손글씨에서 앞글자와 뒷글자가 이어지는 필기의 연속성을 가진 형태로 표현되는 것이 특징이다.
![](https://typographyseoul.com/wp-content/uploads/2023/06/58_ts_Body_04.jpg)
Italic과 유사한 형태로 ‘Oblique(오블리크)’가 있는데, Oblique는 ‘Slanted Roman(비스듬한 로만)’ 혹은 ‘Sloped Roman(기울어진 로만)’이라고 부른다. Oblique와 Italic을 구별하는 좋은 글자로 [a]와 [f] 그리고 [g]의 형태를 들 수 있다. 필기의 연속성이 유지되는 느낌으로 글자의 형태가 변하는 Italic에 비해 Oblique는 그 형태가 Roman을 살짝 기울인 정도에서 크게 벗어나질 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