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문의





    검색

    닫기
    t mode
    s mode
    지금 읽고 계신 글

    인터뷰/애프터뷰 #8 ‘매뉴얼 그래픽스’ 이성균

    이성균 interVIEW in 2014 / afterVIEW in 2020


    인터뷰. 임재훈

    발행일. 2020년 03월 11일

    인터뷰/애프터뷰 #8 ‘매뉴얼 그래픽스’ 이성균

    interVIEW / afterVIEW
    
    인터뷰(interview)는 말 그대로 서로(inter) 보는(view) 일이다. 서로 보는 일이나, inter-see가 아니라 inter-view인 데에는 이유가 있다. 인터뷰는 책, 기사, 영상 등 ‘인터뷰 콘텐츠’를 전제로 한 서로―보기다. 인터뷰 자체를 콘텐츠 제작 과정의 일부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모든 콘텐츠에는 기획 의도가 있으므로, 콘텐츠를 위한 만남과 대화는 어느 정도 기획적·의도적으로 이루어지게 마련이다. 인터뷰 또한 그렇다. 인터뷰는 사람과 사람의 만남이기보다, 관점과 관점의 상호작용이다. 즉, view와 interaction의 결합이다.
    
    『타이포그래피 서울』은 2011년 창간 이후 국내외 디자인계 인물 약 300명을 인터뷰했다. 타입디자이너, 그래픽디자이너, 일러스트레이터, 설치미술가, 대학교 디자인학과 교수, ···. 어느 날 문득, 그들의 인터뷰 이후가 궁금해졌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그들의 view를 재확인해보고 싶었다. 지금쯤 그들은 어떤 위치와 어떤 view를 지닌 채 살아가고 있을지. 지금의 view에 새로운 interaction이 더해지면 어떤 interview가 가능할 수 있을지. 그들과 다시 서로―보기를 시도해보고 싶었다. 그래서다. 연재 코너 [인터뷰/애프터뷰]를 마련한 까닭은. 특별한 기획의도는 없다. 다만, 그들을 다시 보고 싶었다는 것 외에는.

    interVIEW in 2014

    6년 전 ‘매뉴얼(MANUAL)’ 로고는 짙은 초록색이었다. 딱히 상징색은 아니었다. 인터뷰이 이성균은 매뉴얼 대표로서 고민이 많아 보였다. 막연하게 아이덴티티라는 것이 있어야 하지 않을까 해서 초반에는 많이 생각해봤는데 뭔가 의도해서 만들어놓기가 정말 쉽지는 않았고 어쩌면 거짓말을 하는 것 같기도 하고 혹은 스스로 작업의 경계를 지어버리는 것 같기도 해서 생각할수록 복잡했다, 라고 그는 털어놓았다. 이제 보니 이성균의 어투는 소설가 정영문의 문체(연결 어미가 꼬리에 꼬리를 무는 만연체)와 닮았다. “나는 개들에 대해 이런저런 생각을 하는 것을 좋아했고, 가끔 개들에 대해 이런저런 생각을 너무 할 때면 머릿속에 사납거나 앙칼지거나 시끄럽거나 정신없거나 우스운, 크고 작은 여러 마리의 개들을 키우고 있는 것 같기도 했지만, 현실 속 개들은 특별히 좋아하지도 싫어하지도 않았는데, (후략)”

    afterVIEW in 2020

    매뉴얼은 ‘매뉴얼 그래픽스(MANUAL GRAPHICS)’가 됐다. 로고는 짙은 초록색이 아니라 주황색이다. 이성균은 여전히 고민이 많아 보였다. 그는 6년 전과 비슷하게 “고민하는 시간이 많은 편인데, 고민의 결과까지 도달하려면 인내력이 필요하고, 그래서 체력이 뒷받침돼야 생산적 고민도 가능한 것 같다”라고 털어놓는다. 위 인용문 속 ‘나’만큼이나 이성균은 무엇인가에 대해 늘 이런저런 생각과 고민을 하는 듯하다.

    그에게 짓궂은 질문을 해봤다. 왜 주황색이냐고. 짙은 초록색 때 같은 만연체 투의 고민들을 또 들어볼 심산이었다. 하지만 이성균은 간단히 답해버린다. “새로 옮긴 사무실 카펫이 주황색이라서”라고. 그러고 보니 그의 어투는 좀 달라졌다. 긴 건 길고 짧은 건 짧다. 길어야 할 고민과 짧아야 할 고민을 구분하는 나름의 매뉴얼이 6년 새 갖춰진 건가, 싶을 만큼. 매뉴얼이 매뉴얼 그래픽스가 되고, 초록색이 주황색이 되는 동안, 디자이너 이성균의 태도는 좀 더 확고해진 모습이다. 한 예로, 그는 지난해 ‘새로운 목표’라는 걸 세웠고 올 초 과감히 실현했다. 바로 스튜디오 이전이다.

    올 초에 스튜디오를 옮기신 걸로 압니다. 지난해 가을에는 페이스북에 “조금 더 새로운 목표를 두고 이사를 준비 중에 있습니다.”라고도 쓰셨어요. 지난 6년간 어떻게 지내셨는지, 매뉴얼의 새로운 목표란 무엇인지 듣고 싶습니다.

    6년간 고민의 폭이 넓었던 것에 비해 행보는 좁았습니다. 계속 들어오는 일을 해 가며 살림을 꾸려 나갔어요. 클라이언트 규모가 조금 커진 것과 브랜드 디자인 업무가 많아진 일 외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그에 비해 여러 고민들은 스쳐 갔는데요. 주로 ‘좋은 작업과 돈 벌기를 어떻게 이룰 수 있는가’에 대한 방법 같아요. 우선 되는대로 다 해서 돈을 벌고 나중에 하고 싶은 일만 하며 살 것인가, 다 내려놓고 조용한 곳으로 내려가 소박한 일거리에 만족하며 살아갈 것인가, 다른 카테고리의 일을 병행해서 돈을 벌어볼까 등등. 동시에 다른 스튜디오나 에이전시의 좋은 결과들을 볼 때의 불안과 자괴감도 가지고 있었던 것 같아요.

    그러다 갑자기 명확해진 건 의외의 구석입니다. 제가 공간에 대한 관심이 많은데, 예를 들면 스탠다드에이(STANDARD.a) 쇼룸 같은 곳에 가 보면 너무 부러운 거예요. 이런 곳에서 살거나 일하고 싶은 마음이 크니까요. 하지만 돈이 없으니 부럽기만 했던 거죠. 그렇게 몇 번을 부러워만 하다가, 어느 날 문득 든 생각이, ‘이렇게 하고 싶은 게 있는데 왜 못하지? 그냥 하자’였어요. 그러면 이런 공간에서 일할 수 있는 건 확실하고 그렇게 되면 너무 기분 좋을 것 같은 거예요. 상상만 해도 좋더라고요. 그래서 다음날 페이스북에 새로운 목표에 관해 썼습니다.

    매뉴얼의 새로운 목표는, 마음에 드는 좋은 공간에서 일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최근 경복궁 근처로 이사를 했는데요. 무척 만족스럽습니다. 그리고 신기한 건, 앞서 했던 고민들이 사라졌습니다. 돈을 썼으니 그만큼 벌어야겠고, 방식은 내가 좋아하는 공간에서 내가 좋아하는 일로 열심히 하고 살자, 라는 기분입니다. 이 자리를 빌어 공간을 완성해준 글래드(GLAD) 김민혁 대표님께 감사 인사를 전하고 싶습니다.

    『설국』으로 유명한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1954년작 『명인』이 지난해 국내에 출간됐죠. 이 책의 디자인을 매뉴얼에서 진행했고요. 소설의 줄거리를 떠나, 제겐 이 책이 퍽 신선했습니다. 한 페이지의 1/4쯤 되는 하단 영역을 텅 비워둔 점, 그 공간에 이따금 본문 각주를 세로쓰기로 처리한 점이 눈에 띄더군요.
    이 작품이 바둑 소설이잖아요. 본문 텍스트의 여백과 가로쓰기/세로쓰기 대비 때문인지, 본문 페이지 자체가 마치 기보(棋譜) 같다는 느낌도 들었습니다. 활자들이 마치 가로줄/세로줄에 놓인 바둑돌들 같았다고 할까요. 물론, 제멋대로의 해석입니다···. 『명인』의 디자인 콘셉트에 대한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명인』 북디자인은 저희 팀 한승희 디자이너의 작업입니다. 시안이 두 가지였는데, 그중 하나를 보자마자 ‘이걸로 해야겠다’ 강하게 (느낌이) 왔어요. 북저널리즘을 운영하는 스리체어스 출판사(클라이언트)에 디자인 비용 덜 받아도 좋으니 이 시안을 꼭 통과시켜 달라고 요청 드렸습니다. 감사하게도 받아들여주셨죠. 비용 삭감 없이 ‘쿨거래’.

    책이 바둑에 관한 내용이라, 기보를 연상시키는 디자인을 기본으로 삼았습니다. 그리고 바둑 명인의 노련미, 정교함 등을 담고자 했어요. 가장 좋았던 부분은 페이지 하단을 비워낸 레이아웃입니다. 은퇴 대국을 대하는 명인의 기분은 어떨까, 생각했을 때 제가 해석한 것은 공허함이었거든요.

    바둑이 뭐라고 내 인생을 여기에 담았을까, 명인이라 칭송받지만 내가 그만큼 위대한 사람일까, 이 대국이 끝나면 나는 무엇일까, ···. 이런 공허함을 레이아웃과 연결시켜 달라고 주문했죠. 글자들 아래 공간이 공허히 비어 있도록, 독자들도 명인의 공허함을 함께 읽어나갈 수 있도록요. 이렇게 의도나 맥락을 발견해서 표현해 나갈 때, 클라이언트가 또 이를 존중해줄 때, 디자인이 정말 좋다고 느낍니다.

    매뉴얼 그래픽스 명함

    “(매뉴얼만의 아이덴티티는) 아직 없다고 생각해요. 아이덴티티라고 정의할 만큼 뭔가 굳어진 게 없고, 짙은 초록색은 의도적으로 활용하는 편이긴 한데, 아이덴티티라고 할 만큼은 아닌 것 같습니다.”
    요즘은 짙은 초록색보다 주황색 계열을 의도적으로 활용하시는 편 같아요. 매뉴얼의 새로운 목표 내지 아이덴티티와 연관이 있지 않을까 하는 추측도 해봅니다. 이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매뉴얼이 진행한 최근 대표 작업들도 소개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이사와 더불어, 매뉴얼을 시작한 지 올해로 10년째를 맞습니다. 해서, 조금 새로워지고자 로고를 바꿔봤습니다. 불리는 건 그대로 ‘매뉴얼’이지만, 기존 글자에 ‘그래픽스(graphics)’를 붙였어요. 제가 안그라픽스나 《GRAPHIC》 잡지를 좋아해 영향을 받은 것도 있지만, 디자인 스튜디오 매뉴얼에 그래픽스란 단어를 더해 저희가 속한 영역이 시각 분야라는 점을 좀 더 분명히 하고 싶었습니다. 언급하신 대로 기존의 짙은 초록색에서 주황색을 주로 사용하고자 하는데요. 왜 주황색이냐면, 이사한 사무실 바닥이 주황빛 도는 카펫인데 마음에 들어서입니다.(웃음) 브랜드 무드가 공간과 일관성이 있으면 왠지 좋을 것 같아서요.

    매뉴얼의 최근 작업으로는 지난해 마무리한 피트니스 브랜드 고투(GOTO)의 어플리케이션 디자인, 현재 진행 중인 쏘카(SOCAR)와의 몇 가지 사이트 협업, GS샵 임직원 연수원 ‘심소원(心笑源)’의 공간 브랜딩 및 책 작업, 어퍼하우스(UPPER HOUSE)라는 주거 공간의 브랜딩, 건축설계사무소 스트락스어쏘시에이트(STRAKX associates)의 리브랜딩 등이 있습니다.

    “블로그를 운영 중인데 방문자가 한 달에 십여 명밖에 안 되니, 이 기회에 홍보 좀 부탁 드립니다. 진지하면서 웃긴 편입니다.”
    지난해 개인 블로그에 쓰신 「서른아홉이 됐다」라는 짧은 글을 읽었습니다. 특히 첫 문단이 좋았어요. “그 한 해 전 나이는 그냥 통로 같은 느낌. 그리고 그 통로에 들어선 지 이제 막 한 달이 지났다.” 또 마지막 문장 “이게 다 체력이 떨어져서 그렇다는 결론”에도 ‘격공’했고요. 그리고··· 어느덧 2020년입니다. ‘통로’를 지나 오신 셈인데요. 어떠신가요, 자기 안의 뭔가가 달라졌다고 느끼시나요? 혹은, 달라진 건 아무 것도 없나요? 달라졌든 안 달라졌든, 삶은 계속 이어지고 또 다른 ‘통로’들이 올 텐데,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할까요? 역시, 체력 관리는 필수일까요?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할까, 까지는 잘 모르겠고요. 체력 관리는 필수 같습니다. 요즘은 특히나 코로나 시국인 데다가 저는 아이를 키우는 입장이기도 해서, 체력의 중요성을 더 실감합니다. 어디서 들은 내용인데, 체력이 강하면 고통에 대한 인내력도 높아진다고 하더라고요.

    저는 고민하는 시간이 많은 편인데, 고민의 결과까지 도달하려면 인내력이 필요하고, 그래서 체력이 뒷받침돼야 생산적 고민도 가능한 것 같습니다. 그리고, 어떤 일을 꾸준히 하는 데에도 인내력-체력은 중요합니다만, 이렇게 잘 알면서도 정작 운동은 안 하고 있고, 올 들어 다이어트 시도 횟수만 열두 번쯤 될 거예요. 요즘 치킨은 좀 잠잠해졌는데, 대신에 라면이나 회 쪽을 부쩍 공략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의 소개문에 따르면, 매뉴얼은 “정직하게 일하며, 크고 멀리 있는 것보다 지금 우리에게 주어진 업무를 책임감 있게 소화해 내는 것이 먼저라고 믿는” 스튜디오입니다. 그래서 미래가 아닌 현재를 여쭈면서 인터뷰를 마무리할게요. 현재 매뉴얼에게 주어진 가장 중요한 업무 혹은 임무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세요?

    일을 완결성 있게 잘 해내는 것입니다. 마무리된 일을 돌아봤을 때, 후회가 남지 않았으면 해요. 그러려면 일의 단계별로 반드시 전제돼야 할 것들이 있죠. 시간 엄수, 스튜디오 구성원 모두가 동의·만족하는 시안 제안하기, 기존의 테크닉이나 표현 등에 디자이너 스스로 적응하지 않기, 포기는 금물, 일의 시작부터 끝까지 자료 정리는 철저히, ······. 이런 태도로 우리가 맡은 일을 완결성 있게 잘 해내고, 그 결과물로써 스튜디오 내외부의 신뢰를 얻고 싶어요. 물론, 제 자신으로부터의 신뢰도 포함입니다.

    복합문화공간 ‘완벽한 날들(Perfectdays)’ 브랜딩(일러스트레이션: HWAL WORKS)

    Popular Interview

    인기 인터뷰

    New Interview

    최신 인터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