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VIEW / afterVIEW 인터뷰(interview)는 말 그대로 서로(inter) 보는(view) 일이다. 서로 보는 일이나, inter-see가 아니라 inter-view인 데에는 이유가 있다. 인터뷰는 책, 기사, 영상 등 ‘인터뷰 콘텐츠’를 전제로 한 서로―보기다. 인터뷰 자체를 콘텐츠 제작 과정의 일부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모든 콘텐츠에는 기획 의도가 있으므로, 콘텐츠를 위한 만남과 대화는 어느 정도 기획적·의도적으로 이루어지게 마련이다. 인터뷰 또한 그렇다. 인터뷰는 사람과 사람의 만남이기보다, 관점과 관점의 상호작용이다. 즉, view와 interaction의 결합이다. 『타이포그래피 서울』은 2011년 창간 이후 국내외 디자인계 인물 약 300명을 인터뷰했다. 타입디자이너, 그래픽디자이너, 일러스트레이터, 설치미술가, 대학교 디자인학과 교수, ···. 어느 날 문득, 그들의 인터뷰 이후가 궁금해졌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그들의 view를 재확인해보고 싶었다. 지금쯤 그들은 어떤 위치와 어떤 view를 지닌 채 살아가고 있을지. 지금의 view에 새로운 interaction이 더해지면 어떤 interview가 가능할 수 있을지. 그들과 다시 서로―보기를 시도해보고 싶었다. 그래서다. 연재 코너 [인터뷰/애프터뷰]를 마련한 까닭은. 특별한 기획의도는 없다. 다만, 그들을 다시 보고 싶었다는 것 외에는.
interVIEW in 2016
“각자 다른 삶의 양식과 목표를 가지고 살아온 친구들의 우연한 술 모임으로 시작되었습니다.” 모임 별(BYUL)의 2016년 자기소개다. 우연히 몇몇이 술 마시러 모였고, 그러다 음악 하고 디자인 하는 모임으로 이어졌다는 거다. 모임 별 소장(director) 조태상은 4년 전 이런 설명도 덧붙였다. “내외부 인원들로 매번 새로운 팀을 구성해 함께 작업하는 일종의 ‘오픈 플랫폼’” 형태라고. 쉽게 말해 ‘모임 별’이라기보다 ‘모이는 별’에 가깝다는 것이다. 특정인들이 모여 인원 변동 없이 한자리에 쭉 머물면 ‘모임-gathering’이 된다. 명사형으로서 자리를 굳히는 거다. 이와 달리 사람도 자리도 살짝살짝 바뀐다면, 그때그때 ‘모이는-gather’ 행위가 일어난다. 동사형으로서 모이고 헤치기를 반복하는 거다. 모임 별은 이미 모임 된 이들을 유지하는 게 아니라, 모이고 흩어지고 뭉치고 풀어지는 체제를 지키는 듯 보였다.
afterVIEW in 2020
“모임 별은 물리적인 스튜디오를 두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술 모임’입니다.” 2016년 인터뷰 이후 모임 별에 새로 합류한 오태경의 말이다. 4년 전과 후의 소개가 똑같다. 모임 별은 여전히 ‘술 모임의 시스템’을 지속하고 있다. 술 모임이란 술 마시러 모였다 흩어지고, 뭉쳤다 풀어지는 자리다. 술 모임은 파함을 전제로 한다. 흩어지고 풀어졌던 이들이 다시 술 마시러 모이고 뭉칠 때, 그 술 모임은 다시 새롭다. 흩어져서 각자 삶의 문제를 풀고 온 이들이 저마다의 답을 모아 한 잔 한 잔으로 뭉쳐 나눠 마신다. 그러고는 다시 파한다. 그러다 또 모인다······. 술 모임의 시스템은 이를테면 ‘파(罷)-회(會) 반복 시스템’이다. 가만히 모여 ‘있지’ 않고 부단히 ‘모이고 파하고 또 모이는’ 생성의 시스템이다.
모임 별은 올해로 20년째 ‘기본적으로 술 모임’ 체제를 운영 중이다. 꾸준히 새 음반을 발표하고, 브랜딩과 아트디렉션,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의 포트폴리오를 쌓아 올리고 있다. 그러고 보니, 4년 전에도 이번에도 ‘별’의 의미를 묻지 않았다. 한 자리에서 가만한 별(star)은 왠지 아닐 것 같고, 다를 별(別)이거나 언뜻 바라볼 별(瞥)이 아닐까 멋대로 주워대본다.
※ 조태상과 오태경이 모임 별 구성원들의 목소리를 대표하여 인터뷰 질문에 답했다.
2016년 인터뷰 이후 4년 만에 다시 인사드리네요. 특히나 올해는 모임 별 결성 20주년입니다. 지난 4년간 어떻게 지내셨는지, 20주년을 맞은 기분은 어떠신지 궁금해요.
조태상
소중한 지면(또는 스크롤 페이지)에 다시 초대해주셔서 반갑고 고맙습니다. 저희는 그 사이 팀 구성에 약간의 변화가 있었고, 물리적 스튜디오를 서울 용산구 한남동에서 강남구 신사동으로 옮겼으며(반지하 작업실이 두 번이나 침수되었으나 아무런 해결도 배상도 하지 않는 집주인에게 좌절/분노하여), 새 정규음반 등을 완성했습니다. 20주년이라고는 하지만 특별한 느낌이 들거나 하진 않습니다. ‘할 수밖에 없었던 일들을 하다 보니 운 좋게 살아 있네’ 싶은 정도의 감회랄까요.
“저희는 기본적으로 여전히 친한 친구들의 ‘술 모임’이자 함께 음악을 만들며 일상을 기록하는 ‘밴드’입니다. 조태상, 허유, 조월, 이윤이, 이선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지금 ‘모임 별’ 밴드 구성은 조태상, 허유, 조월, 이선주, 서현정, 황소윤 이렇게 여섯 분인 것으로 아는데요. 멤버 각자의 역할을 소개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조태상
아까 말씀드렸던 것처럼 4년 전 인터뷰 이후 변화가 조금 있었습니다. 미술 작가로서의 작업에 전념하기 위해 이윤이가 2018년 발매된 정규 음반 〈주인 없는 금(Nobody’s Gold)〉 녹음 참여를 끝으로 팀을 떠났습니다. 오랜 기간 세션 드러머로 활동해온 서현정은 밴드의 공식 멤버가 되었고, 새로운 기타리스트로 황소윤이 합류했습니다.
통상 모임 별의 구성원은 ‘밴드’ 차원에서의 멤버만 고시(?)되는데, 브랜딩/디자인 스튜디오에 기존 장용석 외 최고의 유머 감각과 변호사 자격증을 지닌 오태경이 프로젝트 기획자이자 검토/실행 등의 역할로 합류했습니다.
조월은 모임 별 활동과 더불어 꾸준히 솔로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고, 최근 새 EP 〈퇴로/식목일〉을 발매했습니다. 저는 언제나처럼 팀 내 작곡 등과 함께 브랜딩/디자인 일들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오태경
모임 별은 물리적인 스튜디오를 두고 있지만 기본적으로 ‘술 모임’입니다. 그래서 해당 공간은 인적이 드물다 못한 나머지 올 초 한국전력으로부터 해당 공간 점유자의 동절기 고독사 여부를 확인하는 연락을 받기도 했습니다. 이렇게 ‘인적이 드문’ 모임 별의 스튜디오에 새롭게 합류한 저는, 그 거주지 및 업무 특성상 신속하게 스튜디오에 출동하여 각종 업무상 응대 및 잡무 처리를 전담하는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모임 별은 기본적으로 직제나 작업 흐름이 확립된 조직이라기보다, 상황별로 복합적인 요구 조건에 따라 내외부 인원들로 매번 새로운 팀을 구성해 함께 작업하는 일종의 ‘오픈 플랫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픽디자인, 아이덴티티, 제품 디자인 등등 ‘모임 별’의 디자인 작업 영역은 무척 세분화돼 있습니다. 클라이언트들도 다양하고요. 작업량이 상당할 것 같습니다. 특히 최근 1~2년간 프로젝트들을 보니 브랜딩 작업이 많아 보이더라고요. 게다가 ‘모임 별’은 디자인 스튜디오이자 밴드이기도 하잖아요. 이 많은 일들을 처리할 수 있는 건 ‘오픈 플랫폼’ 운영 방식 때문인가요? ‘모임 별’만의 작업 프로세스가 궁금합니다.
오태경
‘오픈 플랫폼’ 방식은 어감 때문에 다소 무정형하게 들리는데요. 컨트리뷰터로 협업했다가 이후 정식 멤버로 합류해 프로젝트를 경험해본 바에 따르면, 모임 별은 이렇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클라이언트 혹은 업무 성격에 대응되는 프레임을 신속히 확립한 뒤 철저히 기계적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편에 가까워요.
특히 합류 후 첫 프로젝트 때 법률 검토를 추가했어요. 모임 별과 클라이언트, 그리고 결과물 모두에 대한 세이프가드를 설정한 겁니다. 고객을 더욱 안심시킬 수 있었죠. 모임 별은 한마디로, 시시각각의 미세 조정 기능에 안전벨트가 추가된 ‘프로젝트 머신’이라 할 수 있습니다.
조태상
과거 인터뷰 때 ”사실 저희가 이와 같은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유지하고 운용한다기보다는, 적은 수의 멤버로 변화무쌍한 클라이언트, 과제들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한 궁여지책이라 말씀드리는 편이 솔직할 듯싶습니다.”라고 답변 드렸는데요. 지금도 동일합니다.
특별히 많은 일을 한다는 생각은 들지 않아요. 전에 비해 디자인만 담당하는 프로젝트의 수는 확연히 줄었고, 대신 기획 단계부터 디자인까지 총괄하는 브랜딩 프로젝트 수, 예산, 업무량은 늘었습니다. 저희가 원했던 방향으로의 변화이긴 한데, 팀 전체로서의 연간 작업량은 비슷하거나 조금 줄어든 듯싶고, 그래서 좋기도 하지만 살짝 걱정이기도 합니다.
『타이포그래피 서울』 독자 여러분을 위해, 모임 별의 최근 대표적인 디자인 작업들을 소개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음악(앨범)도요.
조태상
2018년 11월에 LP/CD로 발매된 저희 새 정규 음반 〈주인 없는 금〉은 ‘늑대의 탈을 쓴 양’, ‘나리 유코 진’, ‘친밀한 적들’, ‘디자이너들이 죽으러 가는 곳’, ‘박쥐들 우리는’ 등 열네 곡을 담았습니다. 디자인 스튜디오 멤버인 장용석의 목소리도 실었어요. 음반 아트워크는 저희의 오랜 벗이자 동료인 미술가 양혜규와 함께 만들었습니다.
지난해에는 〈주인 없는 금〉 수록곡 ‘콩 이야기’의 리믹스 음반 〈콩 이야기들과 쓰레기 춤(Bean Tales & Trash Dance)〉 CD를 발매했습니다. 저희가 존경/사랑하는 동료 예술가들인 이민휘, 박민준(DJ Soulscape), 불싸조, 오혁(혁오밴드), 오대리(ODÆRI)가 참여해주었어요. 멤버 허유가 아이폰으로 촬영한 사진들을 그러모아 17x24cm 판형의 80페이지 소책자 형태로 완성했습니다.
조월의 〈퇴로/식목일〉은 지난해 7월 발매됐는데요. 향후 완성될 세 번째 정규 음반에 앞서 발표되는 싱글 시리즈의 첫 작품입니다. ‘퇴로’, ‘식목일’, ‘다시, 퇴로’, ‘천문관에서’ 네 곡을 수록하고 있습니다. 디자인은 모임 별이 담당했습니다.
마지막 질문입니다. 모임 별의 근미래 계획을 들어보고 싶습니다.
조태상
서현정은 자신의 새 프로젝트 밴드인 텐투텐(Ten To Ten)의 음반 〈Sound And Vision〉을 최근 발표했습니다. 드러머만이 아니라 작곡가이자 보컬리스트로의 역량/재미를 실험하는 계기가 되리라 생각합니다.
황소윤 역시 자신의 밴드인 새소년 및 솔로 프로젝트 So!YoON!을 통해 다양한 음악 작업들을 선보일 예정으로 알고 있습니다. 모임 별의 베이시스트이자 모임 별 외 별도의 출판 전문 디자인 스튜디오 Nice Age를 운영하는 이선주는 작년에 서울에서 제주로 거처를 옮겼습니다.
저는 일러스트레이션, 동화 작업 등을 위해 새로운 프로젝트인 JOAN PENCIL(조안 펜슬)을 만들었습니다. 독립 출판 레이블 포엣츠앤펑크스(Poets & Punks)를 통해 올해 2월 JOAN PENCIL의 첫 동화책 〈무엇이어도 괜찮아요〉를 발간했고요. 앞으로도 JOAN PENCIL을 통해 동화, 완구, 재즈/클래식 음반 등을 꾸준히 만들어볼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