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문의





    검색

    닫기
    t mode
    s mode
    지금 읽고 계신 글

    [타이포그래피 상식] 활자를 통해 본 디지털 시대 글꼴의 변화

    글꼴 변천과정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첫째는 원도에 의한 주조활자 시대, 둘째 원도에 의한 사진식자 시대, 마지막으로 디지털 폰트 시대다.


    글. TS 편집팀

    발행일. 2012년 01월 19일

    [타이포그래피 상식] 활자를 통해 본 디지털 시대 글꼴의 변화

    한글은 1443년에 훈민정음이란 이름으로 창제되어 550년이 지나면서 크고 작은 형태적 변화를 거쳐 왔다. 광복 이후부터 오늘 날까지의 글꼴 변천과정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첫째는 원도에 의한 주조 활자시대, 둘째 원도에 의한 사진식자시대, 마지막으로 오늘날, 디지털 폰트의 시대이다. 그 중 공병우박사님이 타자기를 들여온 1900년대 시대부터 디지털 폰트가 사용되기 시작한 2000년대 사이 과도기를 살펴보면서 어떻게 한글이 발달되어 왔는지 알아보자.

    1947년 공병우박사가 세벌식 타자기를 개발한다. 이로 인해 기존 타자기와는 달리 가로 찍기가 가능해졌으며 세벌식으로 자판이 배열되어 실용성이 높아진다. 또한 기존의 네모꼴 형태와는 다른 탈 네모꼴 형태로 글자 높이가 다른 것이 특징이다. 그래서 위쪽은 나란한 반면에 아래쪽은 조금 ‘울퉁불퉁’해 보인다. 최근에 들어서야 공병우박사님의 글꼴에서 초성, 중성, 종성의 다양한 조형미를 갖췄다고 인증되었다. 

    공병우 박사님의 타자기로 타이핑한 글

    세벌식 탈 네모꼴의 장점은 한글의 특징을 살렸다는 것이다. 교육에 효과적이며 가독성이 좋다. 무엇보다 기계화가 용이해서 시각문화를 다양하게 발전시킬 가능성이 있다. 네모꼴의 단점이 탈 네모꼴의 장점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이때의 장점이 세벌식 탈 네모꼴이라는 전제를 두고 있으며 완벽히 검증된 상태는 아니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결과는 탈 네모꼴 활자가 미래의 방향성을 제시한다고 믿고 있으며 계속 연구 중이라고 한다.

    1954년에는 벤트자모 조각기와 사진 식자기가 도입되기 시작했다. 활자 제작의 경우, 새기는 조각기술 대신 활자체 원도의 설계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자 1950년경 최정호 선생님께서 모눈종이에 직접 그리시며 원도를 설계하기 시작했다. 이것이 최초의 원도활자이다. 박경서 선생님의 원도를 밑그림으로 했지만, 수많은 시행착오 끝에 최정호 선생님만의 바탕체를 창작해낸다. 가독성이 높아 오늘날 한국 서적 및 문서에 많이 쓰이는 디지털 본문 서체의 바탕이 되었다. 

    최정호 선생님의 원도
    최정호 체를 사용한 글

    1985년에 최정순 선생님께서는 서울신문 전산식자용 활자를 개발하였다. 그 후 중앙일보(1965), 한국일보(1968), 경향신문(1972) 등 신문 활자를 주로 만들었다.

    최정순 체

    1976년, 탈 네모꼴이 처음 등장한 후 거의 30년이 지나서, 디자이너 조영제는 한글타자기에서 네모꼴 글자를 사용하기 힘들기 때문에 타자기에 적합한 글자꼴을 디자인해야 타자기로도 아름다운 한글을 사용할 수 있다고 했다. 그는 한글의 구조와 타자기의 구조적 한계를 비교·연구하였지만 아쉬움을 남겼다. 

    조영제 디자이너의 탈 네모꼴실험
    김인철의 실험
    샘이 깊은 물 잡지에 쓰인 이상철의 샘물체

    77년 김인철 선생님께서는 가독성을 올리기 위해 디자인하였다. 가독성이 좋은 알파벳을 한글에 적용하는 실험을 했다. 1984년에는 이상철의 샘이 깊은 물 글씨체가 보급되었다. 우리나라 최초로 그리드 시스템을 편집디자인에 적용한 아트 디렉터인 이상철선생님은 세벌식 서체인 샘물체를 개발하였다. 잡지 <샘이 깊은 물>의 제호를 위해 디자인한 ‘샘이 깊은 물체’(일명 샘물체)를 개발하여 활자의 꼴, 크기, 자간행간, 글줄길이에 이르기까지 모든 조판 개념을 독자의 입장을 고려하여 제작하였다.

    그 후, 과학동화의 제호로 사용된 안상수체는 1985년에 발표되었다 초성, 중성, 받침의 모양과 크기가 모두 동일하다. 세벌식 글꼴의 본래 개념을 살린, 디자이너에 의해 개발된 첫 번째 세벌식 서체이다. 이전에 탈 네모꼴이 있었지만 본문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았다. 그러나  특이하게도 안상수체는 공한체와 같이 본문용으로도 사용되었다. 안상수체는 원칙적으로 닿자, 홀자, 받침의 모양과 크기, 위치가 모두 일정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받침이 홀자의 정 중앙 아래에 오는 것 때문에 형태적인 특징이 도드라져 보이며, 세로 홀자 에서의 쌍받침은 오른쪽으로 삐져나가 그 모양이 과격해 보이는 특징을 보여준다.

    안상수체를 사용한 잡지로고 / 안상수체

    1990년에는 한재준의 공한체가 만들어졌다. 세벌식 탈 네모꼴이 본문용으로 쓰이기 시작한다. 공한체는 기존의 탈 네모꼴 한글에서 보이는 과격함을 피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각각 자소의 합리적인 공간 분배와 형태적인 변화)을 했다. 그리고 2000년 우수한글글꼴상을 수상, “우리나라 탈 네모꼴 글자를 정착시킨 역사적 글자꼴이며, 공병우의 세벌식 개념에 디자이너의 미각을 결합시켜 조형성과 실용성을 조화롭게 살린 작품”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한재준의 공한체

    1996년에는 서울시스템에서 문체부 바탕체, 문체부 돋움체가 발표되었다. 점점 활자들이 폰트로 디지털화 되어갔고 2000년대 들어서는 폰트를 만드는 제작프로그램 덕분에 예전의 수작업으로 개발하던 때 보다 빠르게 폰트를 개발할 수 있게 되었고, 옛 글꼴을 복원하여 개발 활용하거나 서예작품의 글꼴을 실용화하였다.

    이렇듯 더 다양한 글꼴들이 만들어지면서 이미 폰트의 종류도 1000여종이 넘어갔다. 지난 100년간 많은 변화가 있었듯이 앞으로도 한글은 계속 발전하고 개선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Popular Review

    인기 리뷰

    New Review

    최신 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