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6월에 설립된 웹 디자인 스튜디오 ‘비쥬얼스토리’(www.visualstory.co.kr)는 올해로 꼭 10년째를 맞았다. 현재 위치인 서울 마포구 성산동에 이사 온 지는 5년째. 스튜디오의 히스토리 절반을 ‘홍대 앞’이라 불리는 이 동네에서 지내온 셈이다. 그동안 비쥬얼스토리는 ‘웹’이라는 디지털 공간을 디자인해왔다. 기업 웹사이트를 비롯해 원더걸스와 2PM 등 가수들의 홈페이지 작업을 해오며 웹 디자인 분야에서 입지를 다졌다. 아무래도 디지털 친화적일 것만 같은 곳이지만, 세세히 들여다보면 오히려 그 반대다. 각종 고철들, 빨래판, 돌멩이, 화분 같은 것들이 스튜디오 안에서 한 자리씩을 차지하고 있다. 흡사 시골집의 정경 같기도 하다. 이 소품들은 비쥬얼스토리 대표인 안병국이 손수 가져다 놓은 것들이다. 10년 이상 웹 디자이너로 살아온 그는 “오래된 고물처럼 손때 묻은 디지털이 좋다”고 말한다. 그래서인지, 캘리그래피와 도예 등 손때를 묻혀가며 작업하는 일을 즐긴다고 한다. 스튜디오에 따로 캘리그래피 작업실까지 마련해놓았을 정도다. 묵향이 감도는 웹 디자인 스튜디오에서, 덩달아 사람 냄새도 나는 듯하다. 안병국이 ‘손때 묻은 디지털’을 위해 작업하는 곳, 비쥬얼스토리를 구경해보자.
왜 홍대앞인가?
회사 초창기에는 서울 사당동에 조그만 오피스텔을 얻어 스튜디오를 운영했다. 그러고는 돈암동으로 옮겼다가, 2007년에 이곳 홍대 앞으로 왔다. 스튜디오 위치가 서울 외곽 쪽일 경우, 변방 혹은 2류로 취급되는 경향이 있다. 또 아무래도 디자인 스튜디오이다 보니, 이런저런 볼거리가 많은 홍대앞이 좋을 거라고 생각해 이사를 오게 되었다.
왜 하필 고물들을 갖다 놓았나? 혹시 디자이너들의 크리에이티비티를 자극하려고?
그들보다는 내 크리에이티비티를 위해서다(웃음). 길거리에서 고물들을 보면 지금은 몰라도 나중에는 꼭 어딘가에 써먹을 때가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들어서 바로 주워온다. 또 고물이란 게 누군가가 오랫동안 썼던 물건 아닌가. 나는 그렇게 손때 묻은 것들이 좋다.
왜 회의 공간을 개방형으로 둔 것인지?
예전에는 지금처럼 개방형이 아니라 ‘회의실’을 따로 두었다. 그런데 스튜디오 식구들이 하는 이야기가, “우리 내부에서는 굳이 비밀스럽게 회의를 할 필요가 없지 않겠나”라는 것이었다. 나 역시 서로 간의 의사소통도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회의 공간을 열어놓았다.
왜 회의 공간에 온도계를 붙여놓았나? 열정의 온도를 재려고?
내가 붙인 건 아니고···. 디자이너들이 붙여놓았다. 음, 현실적인 이유 때문이다. 건물 관리자가 난방을 제때 안 해준다. 계속 온도를 확인하면서 관리자에게 따지려고 한다.(웃음)
왜 이렇게 술이 많은가?
오해하지 말아달라. 나는 결코 애주가는 아니다(웃음). 강병인 선생님을 비롯해 여러 사람들로부터 선물 받은 술들을 쌓아두다 보니 이렇게 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