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문의





    검색

    닫기
    t mode
    s mode
    지금 읽고 계신 글

    [에디터의 북마크] 『타이포그래피 서울』 편집 매뉴얼 Ver. 1

    텍스트 콘텐츠 기반의 온라인 디자인 매체 『타이포그래피 서울』을 위한 편집 매뉴얼


    글. TS 편집팀

    발행일. 2023년 06월 13일

    [에디터의 북마크] 『타이포그래피 서울』 편집 매뉴얼 Ver. 1

    작정한다면 한도 끝도 없이 디테일해질 수 있는 영역이 바로 편집 매뉴얼이다. 대화 표시 부호가 문학동네 소설에서는 큰따옴표(“”), 열린책들 소설에서는 홑낫표(「」)인 까닭은 각 출판사의 편집 매뉴얼이 다르기 때문이다. 한국어 어문 규범에 맞는지 틀리는지를 따지고 들 문제는 아니다.

    편집 매뉴얼은 한 매체의 모든 콘텐츠를 곧추세워주는 등뼈다. 일하는 사람들이 바뀌어도 편집 매뉴얼만 공고하다면 콘텐츠가 흔들릴 위험은 대폭 줄어든다. 거꾸로 말하면, 편집 매뉴얼이 부재할 경우 상당한 혼돈이 야기된다. 구성원이 교체될 때마다 혼란이 가중될 수밖에 없다.

    TS 리브랜딩 후기 #2 ‘SINCE 2011’이라는 끝판왕」, 『타이포그래피 서울』, 2023. 2. 9.

    『타이포그래피 서울』(TS) 편집팀은 올 초 매체 리브랜딩과 웹 사이트 개편을 마치며 위와 같은 후기를 남겼다. 명문화된 편집 매뉴얼의 필요성을 절감한 것이다.

    10년치 콘텐츠 1,500여 건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새 서버에 다시 업로드하는—이렇게 해야만 안정성이 담보되는 개발상의 이유가 있었다—과정에서, 우리는 텍스트의 각종 부호나 인용 표기 등에 통일성이 없다는 사실을 인지했다. 예를 들어 전시명에 붙는 기호가 A 편집팀 시기에는 작은따옴표였고 B 편집팀으로 바뀐 뒤에는 겹화살괄호였다가 C 편집팀 때는 홑낫표인 식이었다. ‘타이포잔치 2013’, 《타이포잔치 2015》, 「타이포잔치 2017」.

    문제의식을 갖게 된 직후 TS 편집팀은 편집 매뉴얼 만드는 일을 시작했다. 기존 콘텐츠들을 한 편 한 편 뜯어보며 글 안에서 빈번히 쓰이는 표기 유형을 추렸고, 온라인 디자인 매체라는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편집 규칙들을 하나씩 만들어 갔다.

    출판사 열린책들 편집팀은 2008년 『열린책들 편집 매뉴얼』이라는 단행본을 내놓은 뒤, 2018년부터는 매년 개정판을 출간하고 있다. 2023년판 서문의 마지막 두 문장이 이랬다. “단어 하나하나, 책 구석구석, 갈닦아 펴내는 일에 애쓰는 모든 분들에게 이 책이 요긴한 동무가 되기를 바랍니다. 언제나처럼 모두에게 성원을 보냅니다.”

    TS 편집팀이 ‘TS 편집 매뉴얼’을 만들어 독자 여러분에게 공유하는 이유도 위 인용문과 같다. 『타이포그래피 서울』은 텍스트 콘텐츠 기반의 매체여서, 자연히 편집팀의 모든 업무는 궁극적으로 좋은 글을 완성하는 데 기여한다. 이러한 일이 내 기분을 좋게 한다, 라고 느끼는 모두에게 TS 편집 매뉴얼이 유용하기를 바란다.

    일단은 첫 번째 버전이다. 현 편집팀이 명문화한 이 매뉴얼을 바탕으로 다음 편집팀, 그다음 편집팀이 이어서 버전업을 지속하고 TS 독자 여러분과 공유해 나가기를 바란다.


    #서체명 #한글자모음 #한글낱자 #알파벳

    서체 이름 표기 ⋯ [서체명]

    ➲ 예시 ⋯ [윤굴림 700], [배달의민족 한나는11살체], [Sandoll 빛의계승자], [글자와브랜딩 이탤릭]

    한글 자모음 및 낱자, 알파벳 등을 설명 및 리뷰하는 글에서의 표기 ⋯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ㅏ], [ㅑ], [ㅓ], [ㅕ], [ㅗ], [ㅛ], [A], [a], [B], [b], [C], [c] 등으로 적는다. 단어를 표기할 때도 [한글], [Apple], [스탠다드 a]로 표기한다. ※ 『타이포그래피 용어정리』(활자공간, 2022)의 표기를 따름. 아래 사진 참고.

    ➲ 예시 ① ⋯ [ㅈ]을 갈래지읒 또는 꺾임지읒으로 디자인할 때 그 시각 기준은 무엇인지가 명확해야 한다. 아래 예시로 든 서체의 [ㅈ]을 살펴보자.

    ➲ 예시 ② ⋯ 이번 시간에는 가구 공방 ‘스탠다드 a’의 로고타입을 살펴본다. 먼저, 한 덩어리를 이루는 [스탠다드 a]에서 [스]와 [드], 그리고 [a]를 따로 떼어 들여다보자.


    #대명사 #고유명사 #행사명

    가수의 앨범명 및 곡명 ⋯ 『앨범 이름』, 「노래 제목」

    ➲ 예시 ⋯ 사카모토 류이치 『플레잉 더 피아노 2013 인 요코하마』 수록곡 「메리 크리스마스 미스터 로렌스」

    스튜디오명 및 블로그명 ⋯ ‘스튜디오 이름’, ‘블로그 이름’

    ➲ 예시 ⋯ 그래픽 디자인 스튜디오 ‘매뉴얼 그래픽스’의 블로그 ‘매그진(MGZINE)

    영화 제목, 드라마 제목, 웹툰 제목 ⋯ 〈영화 제목〉, 〈드라마 제목〉, 〈웹툰 제목〉

    ➲ 예시 ⋯ 〈헤어질 결심〉, 〈브레이킹 배드〉, 〈전지적 독자 시점〉

    전시, 세미나, 워크숍 등 행사명 ⋯ 〈전시 이름〉, 〈세미나 이름〉, 〈워크숍 이름〉

    ➲ 예시 ⋯ 국제 포스터전 〈뷀트포메트 코리아〉, VOD 세미나 〈TS × 리메인 웨비나〉, 한글 레터링 워크숍 〈슭곰발〉

    전시를 구성하는 각각의 섹션명 ⋯ [섹션명]

    ➲ 예시 ⋯ 〈스테판 사그마이스터 展〉은 앨범 재킷과 미술관 도록 등 문화와 관련된 프로젝트로 구성된 [Selling Culture], 기업들과 진행한 상업 광고 등의 프로젝트로 구성된 [Selling Corporation], 자신의 친구들을 위한 디자인으로 구성된 [Selling My Friends], 그리고 자신을 표현하는 프로젝트들로 구성된 [Selling Myself]로 나뉘어 있다.

    프로젝트명 ⋯ [프로젝트명]

    ➲ 예시 ⋯ 디자이너 박우혁은 작업실 이름을 ‘아카이브안녕’으로 정했고, 이곳에서 [아카이브안녕]이라는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매체명 #인용 #출처표기

    책 및 온오프라인 잡지 제목 ⋯ 『책 제목』, 『잡지 제목』

    ➲ 예시 ⋯ 『내 손 안에 폰트』, 『타이포그래피 천일야화』, 『타이포그래피 서울』, 월간 『디자인』, 월간 『CA』, 『디자인 프레스』, 『건축신문』

    책·잡지·논문집에 실린 글·기사·논문 제목 ⋯ 『책·잡지·논문집』 속에 실린 「글·기사·논문 제목」

    ➲ 예시 ① ⋯ 『글짜씨 737-992』(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 2011)에 수록된 서체 디자이너 박지훈의 논문 「새활자 시대 초기의 한글 활자에 대한 연구」.

    ➲ 예시 ② ⋯ 계간 『the T』 10호(윤디자인그룹, 2017)에 실린 기계비평가 이영준의 글 「광폭한 글씨의 욕망이 휩쓰는 도시를 걸으며」.

    신문(언론사) 이름 ⋯ 부호 없이 매체명만 표기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경향신문, 워싱턴 포스트(The Washington Post), 타임스(The Times)

    신문 기사 표기 ⋯ 「기사 제목」, 매체명, 2023. 6. 13., URL

    ※ (포털 사이트의 뉴스 페이지가 아닌) 언론사 홈페이지의 기사 URL을 인용 출처로 표기한다.
    ※ URL 하이퍼링크 적용은 ②와 ③처럼 기사 제목에만(부호를 제외한 텍스트 영역에만) 한다.
    ※ 기자 이름, 칼럼 필자 이름을 표기해야 할 경우 ③의 규칙을 따른다.
    ※ 인용 출처가 온라인 기사가 아닌 지면일 경우, URL 대신 ‘면’을 표기한다. ➲ 「국내 최초의 북 디자이너 정병규 씨 “책표지는 재주가 아닌 ‘혼’”」, 동아일보, 1997. 11. 8., 21면

    ➲ 예시 ① ⋯ 「“세계 最高 아름다운 책, 흔한 전자제품 설명서 용지 썼죠”」, 조선일보, 2021. 7. 7., https://bityl.co/JBZe

    ➲ 예시 ② ⋯ 「산기슭·슭곰발… 서체 디자이너 5명의 유쾌한 끝말잇기」, 조선일보, 2019. 12. 16.

    ➲ 예시 ③ ⋯ 「[디자인 읽기] ‘오감도’는 타이포그래피 실험이다」, 윤여경, 경향신문, 2020. 11. 25.

    잡지 및 시사 주간지 이름 ⋯ 『잡지 이름』

    ➲ 예시 ⋯ 월간 『디자인』, 계간 『그래픽』, 시사 주간지 『한겨레21』

    잡지 기사 표기 ⋯ 「기사 제목」, 『잡지 이름』(발행 호, 발행 연월), URL

    ※ 기사의 유형(인터뷰, 대담, 좌담 등)을 간단히 언급할 경우 ①처럼 기사 제목 앞에 적는다.
    ※ 인용하려는 잡지의 발행 호를 알기 어려울 경우 ③처럼 발행 연월만 표기하는 것을 허용한다.

    ➲ 예시 ① ⋯ 정재완·정윤천 대담 「아파트 기록의 오래된 미래」, 월간 『디자인』(540호, 2023. 6.), https://bityl.co/JBaf

    ➲ 예시 ② ⋯ 「타이포그래피라는 기묘한 이야기」, 편석훈, 『에스콰이어』(303호, 2020. 12.), https://bityl.co/JBat

    ➲ 예시 ③ ⋯ 「대 하이브리드 세리프체의 시대가 열렸다」, 편석훈, 『에스콰이어』(2023. 6.), https://bityl.co/JBax

    저자 본인의 책 인용 ⋯ 『책 제목』(출판사, 출간 연도), 저자, 쪽

    ※ 인용하려는 문장이 인용 출처의 두 페이지에 걸쳐 있을 경우 ①처럼 ‘14·15쪽’으로 표기, 세 페이지 이상 걸칠 경우 ②처럼 ‘12~15쪽’으로 표기.

    ➲ 예시 ① ⋯ 『요제프 뮐러 브로크만이 대체 누구야?』(텍스트 프레스, 2022), 데미안 콘라드, 14·15쪽

    ➲ 예시 ② ⋯ 『한글 디자인 품과 격』(윤디자인그룹, 2021), 편석훈, 12~15쪽

    공저자들의 책 속에 실린 한 사람의 글 인용 ⋯ 글쓴이, 「글 제목」, 『책 제목』(출판사, ○○○·○○○·○○○ 외 공저, 출간 연도), 쪽

    ➲ 예시 ⋯ 김의래, 「디자인되는 것」, 『디자인된 문제들』(쪽프레스, 이기준·김동신·오혜진 외 공저, 2022), 147쪽

    그룹 인터뷰, 대담·좌담 등에서 한 사람의 발언 인용: 잡지일 경우 ⋯ 발언자, 「인터뷰 제목 혹은 좌담 제목」, 『인터뷰 혹은 좌담이 실린 매체 이름』(발행 호, 발행 연월), 쪽

    ➲ 예시 ⋯ 최지웅, 좌담 「1950~1960년대 한국의 영화 타이틀, 한글 현대 타이포그래피의 시작」, 계간 『the T』(9호, 2017. 1.), 37·38쪽

    그룹 인터뷰, 좌담 등에서 한 사람의 발언 인용: 책일 경우 ⋯ 발언자, 「인터뷰 제목 혹은 좌담 제목」, 『인터뷰 혹은 좌담이 실린 매체 이름』(발행 호, 발행 연월), 쪽

    ➲ 예시 ⋯ 손동원, 인터뷰 「모바일용 폰트의 과거와 미래」, 『내 손 안에 폰트』(한글활자연구회, 2021), 14쪽

    특정 용어에 대한 간략한 풀이를 외부 매체(책, 잡지 등)를 근거로 할 때 ⋯ 설명문(『책 혹은 잡지 이름』) ※ 현재 [타입확대경] 시리즈에서 표기하는 방식을 유지함.

    ➲ 예시 ⋯ 낱자: 하나의 닿소리 글자나 홀소리 글자. 낱내를 나타내는 낱낱의 글자.(『한글글꼴용어사전』)

    특정 대상에 대한 긴 풀이를 외부 매체(책, 잡지 등)의 인용문을 근거로 할 때 ⋯ “인용문”과 인용 출처 표기 ※ 아래 예시문의 규칙을 따름.

    ➲ 예시 ⋯ “곁줄기는 홀자 ‘ㅏ, ㅑ, ㅓ, ㅕ, ㅔ, ㅖ, ㅘ, ㅝ’에서 볼 수 있는 요소다. 대개 명조 계열에서는 좌측과 우측의 형태가 다르고, 고딕 계열에서는 동일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 폰트 디자이너 이승협이 연재하는 「타입확대경[Type Loupe] #3 곁줄기」(『타이포그래피 서울』, 2020. 1. 30.) 참고.

    Popular Review

    인기 리뷰

    New Review

    최신 리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