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년대 발표된 한글 폰트들을 통해
누군가에겐 당시의 초심을,
또 누군가에겐 새로운 디자인 크리에이티비티를!
이번에 소개하는 ‘가을체’는 지난 ‘겨울체’부터 ‘봄체’, ‘여름체’에 이어 계절별로 소개한 ‘봄·여름·가을·겨울’ 사계절 서체 시리즈의 대미라 할 수 있다. [편석훈의 백 투 더 90]을 통해 겨울체에서는 필기체에 대한 설명을, 봄체에서는 제작 과정에서도 글자 표현에 대한 설명을 주로 했다면, 여름체에서는 구체적인 제작 과정에 주안점을 두고 폰트 제작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했다. 그리고 이번 가을체에서는 아이디어 스케치에서부터 최종 완성본까지 단계별로 실질적인 폰트 작업 과정을 들여다보고자 한다.
펜촉 느낌의 강약으로 필기체의 섬세함을 묘사한, 가을
가을체는 1995년 여름체와 같이 발표되었다. 가을체 작업 과정 역시 1996년 가을에 발간된 타이포그래피 전문지 『정글』 기사를 통해 소개한다.
가을체의 일차 목표는 컴퓨터라는 기계적인 매개체를 통해 제작된 기존 필기체의 획일화된 틀을 탈피하여 손으로 직접 쓴 필기의 형태에 주안점을 두자는 데에 모아졌다. 그리고 다음으로는 흔히 ‘가을’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요소들(갈대, 낙엽, 섬세함, 쓸쓸함 등)을 어떻게 적절하게 구상화하여 서체에 반영하는가 하는 데로 이어졌다.
1차 시안 작업에서 구조적인 측면은 탈네모틀인 빨래줄 구조를 취하였다. 그래서 윗줄은 모두 맞추고 아래 부분의 공간은 높낮이를 자유롭게 하여 리드미컬한 자연스러움을 구사하도록 하였다. 또 사용자에게 거부감을 주지 않기 위해 글자 폭은 자간을 염두에 두고 거의 일률적으로 정한 결과, 크기의 대소차가 거의 생기지 않았다.
표현 방식에서는 부드러운 플러스펜의 느낌을 살려, 가로와 세로 획의 굵기 차이가 거의 나지 않는 상태로 아이디어 스케치를 마무리하였다.(그림1)
손으로 직접 쓴 필기의 경우 같은 구조를 가진 글자라도 다양한 크기의 변화가 생기고 또 그러한 요소들이 자연스러움을 살리는 역할을 하지만, 실제 제작에서는 처음 시도하는 필기체인 만큼 시작할 때의 의도와는 다르게 조심스러워지게 되었다. 이러한 부분에서 2차 가을체는 한계에 부딪치게 되었다. 이 단계에서 ‘가을’은 전폭적인 수정에 들어갔다. 콘셉트 또한 ‘가을’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현대인들의 섬세한 감성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방향으로 전환하였다.
우선 구조는 1차와 마찬가지로 윗줄을 맞추는 빨래줄 형식을 유지함으로써 가독성을 살리는 동시에 통일감을 주었고, 자간을 생각해 일률적으로 적용한 글자 폭을 적당한 선에서 자연스럽게 조정하도록 하였다. 그러자 글자끼리의 자연스런 크기 차가 생겨 변화의 요소가 생성되었다. 펜촉 느낌을 살려 샤프하게 작업하되(Light일 경우만), 펜촉으로 눌러쓰는 강도에 따라 가로와 세로 획의 굵기 차이를 두었다.(그림2)
또한 손맛을 최대한 살리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 획과 획의 연결 부분에 흘림을 넣었다. 그리고 이러한 흘림을 인위적으로 넣은 뒤, 부자연스러운 부분은 단계별로 수정을 거치면서 자연스럽게 생성되는 방향으로 유도하였다. 초기에는 특히 ‘ㅡ’ 꼴에서 민글자일 때도 흘림을 넣었으나, 수정 단계를 거치면서 종성이 있는 ‘ㅡ’ 꼴에만 날렵한 흘림을 넣기로 했다.(그림3) 세로 획이 ‘ㅏ’일 때는 종성과의 연결이 없지만, ‘ㅣ’ 꼴에서는 종성과 자연스럽게 연결되게끔 하였다.(그림4)
이런 과정을 거쳐 한글 2350자를 Light, Medium, Bold로 각각 제작하였다. 영문과 약물 또한 무게중심선을 한글 ‘ㅏ, ㅑ, ㅣ’ 꼴을 기본으로 하여 한글의 중심선과 균형을 맞추었다. 이렇게 제작 완료한 한글과 영문, 약물을 자간과 단어간, 행간을 염두에 두고 조판 테스트를 여러 차례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적정 자간은 12포인트를 기준으로 했을 때 -30이라는 사용치가 정해졌고, 단어간 또한 기존의 500인 반각을 Light와 Medium은 660, Bold는 680으로 조정해주었다. 그리고 가을체는 사용 범위를 넓혀주기 위해 원도를 정체로 제작하였으므로, 사체로 쓸 경우에는 또다른 스타일의 ‘가을’을 접할 수도 있게 배려하였다.(그림5)
절제된 흘림으로 차별화한 ‘가을’체
『윤서체 아카이브』에 설명된 가을체에 대한 설명은 이렇다. “기존 필기체의 획일화된 틀에서 벗어나 손으로 직접 쓴 필기 형태에 주안점을 두고 제작하였다. 글자 폭의 자율성으로 인해 크기의 대소차 변화가 생겼으며, 흘림 부분은 최대한 절제하고 섬세하게 묘사한 고품격 손글씨 서체다.”
그리고 다음 내용은 폰코(FONCO)에 소개된 가을체 소개문이다. “가을바람 솔솔 불고 귀뚜라미 소리 들리면 어쩐지 손편지가 쓰고 싶어요. 가을체는 기존 필기체의 획일화된 틀에서 벗어나 손으로 쓴 필기체의 느낌을 최대한 살려 디자인한 폰트입니다. 절제된 흘림의 섬세한 매력에 따라, 여러분만의 가을 감성을 발휘해보세요.”
‘봄·여름·가을·겨울’은 하나의 시리즈이면서도, 각각 다른 네 가지 계절감을 가진 서체로 차별화를 꾀해야 했다. 이것은 기획 단계에서부터 무척이나 중요한 과제였다. 같은 필기체이지만, 봄체는 크레파스로 질감이 있는 종이에 쓴 듯한 느낌을 표현했고, 가을체는 펜으로 쓸 때의 강약을 중시했으며, 겨울체는 붓으로 쓴 느낌을 강조했다.
소재의 표현 방법에서뿐만 아니라, 무게 중심을 각각 달리 하거나(가을체는 윗선맞추기인데 반해 겨울체는 가운데 무게중심을 두고 있다), 굵기 대비를 달리하는 등 각각의 서체 표현에 있어 분명한 차이를 둘 수 있도록 했다. 이처럼 시리즈 폰트 제작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은 뭐니뭐니 해도 ‘차별화’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차별화 못지 않게 중요했던 점은 이 프로젝트를 진행한 디자이너들의 열정이었다. 처음 생각한 콘셉트 그대로만 진행하기 보다는 작업 과정 중에 수없이 거듭되는 수정 작업을 거쳐야 했는데, 수년간 진행된 이러한 과정에 수많은 디자이너들의 땀과 열정이 있었기에 ‘성공적인 시리즈 서체’가 작업될 수 있었다. ‘봄·여름·가을·겨울’ 시리즈를 정리하면서 이 작업에 참여했던 디자이너들 한 명 한 명이 떠올랐다. 그들에게 이 자리를 빌려 감사의 인사를 전한다.
㈜윤디자인그룹 대표이자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우리 문자 한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 꾸준한 본문체 프로젝트, 국내외 유수 기업들과의 전용글꼴 개발을 이끌어 오고 있다. 타이포그래피를 활용한 브랜딩 영역을 개척함으로써 윤디자인그룹의 정체성을 기존의 글꼴 디자인 회사에서 타이포브랜딩(typo-branding) 기업으로 전환했다. 저서로는 『한글 디자인 품과 격』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