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문의





    검색

    닫기
    t mode
    s mode
    지금 읽고 계신 글

    이나미의 현장과 세상 #5 쌈 싸 먹고 비벼 먹고 말아 먹고

    한식 문화가 디자이너에게 선사하는 창의적 영감


    글. 이나미

    발행일. 2014년 01월 14일

    이나미의 현장과 세상 #5 쌈 싸 먹고 비벼 먹고 말아 먹고

    지난 12월 우리의 김치와 김장 문화가 ‘유네스코 인류 무형유산’에 등재되었다는 뉴스를 들었다. 종묘제례와 종묘제례악, 판소리, 강릉단오제 등에 이어 17번째의 쾌거라고 하니 세계인의 눈을 통해 우리 문화를 다시금 돌아보게 하는 뜻깊은 계기가 아닐 수 없다. 세계인이 함께 소중히 여겨줄 수 있는 그런 문화유산을 지닌 나라인가 아닌가는 그 나라가 얼마나 돈이 많은 나라인가 아닌가와는 차원이 다른 국가적 이미지를 만들어 준다는 것을 몸소 체험한 경험이 있는 나로서는 더욱 그러하다.

    <Korean Food, The Originality>, <Korean Food, The Impression> 커버와 패키지 디자인

    미국에서 유학 중이던 80년대의 기억을 상기해본다면 유학생인 나의 눈에 비친 미국 내에서의 일본이라는 나라가 지닌 국가적 입지는 한국이 지닌 그것과는 엄청난 차이가 있었다. 서울은 몰라도 도쿄를 모르는 사람은 없었고, 대도시에 일식 레스토랑 몇 개쯤은 어렵지 않게 발견할 수 있을 만큼 미국인들의 인식 속에 파고든 일본의 음식문화는 수준 이상이었다. 김치는 몰라도 ‘스시’는 누구나 알고 있을 정도였고, ‘스시’는 고급음식이라는 인식이 지배적이라 혹여라도 스시를 못 먹는 경우라면 비싸서 못 먹거나 자신의 입맛이 세련되지 못해서라고 생각하는 게 일반적이었다.

    미국인의 음식문화와는 너무도 이질적인 ‘날생선과 초밥의 조화’가 어떻게 미국인 편견의 벽을 넘을 수 있었는지, 일본의 ‘스시’가 어떻게 세계시장에 자리 잡게 되었는지를 직접 목격하면서 나는 신기한 생각을 넘어 질투가 날 만큼 부러웠다. 날것을 먹지 않는 서양인의 생각을 180도로 뒤집어 ‘스시는 건강한 음식, 세련된 음식문화’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심어주기까지 하였으니, 도무지 상상조차 하기 어려운 도전을 그들은 해냈다. 그것은 음식을 넘어 문화를 전파한 것이고, 문화를 넘어 국력을 증명하는 일이라는 것을 여실히 목격하며 우리의 모습을 비교해보지 않을 수 없었다. 한국은 미국과는 비교도 안 되는 5천 년이라는 긴 역사를 지닌 나라이며 한국인이 먹는 김치라는 음식이 얼마나 문화적으로 뛰어난 음식이며 과학적으로 증명된 건강한 음식인지를 아무리 설명을 해도 그건 자화자찬일 뿐이었다. 세계인의 눈에 비친 코리아는 중국, 일본과 어떻게 다른지 전혀 존재감이 없는 나라, ‘냄새가 나는 김치를 좋다고 자랑하며 먹는 나라’일 뿐이었다.

    그러던 코리아가 지난 2010년에 G20 정상회담의 의장국이 되어 서울에서 회담을 치르게 된 것을 보며 무척 감회가 깊었다. 그보다 더 거슬러 올라가 본다면 2002년 월드컵의 주최국으로 세계 4위의 실력을 발휘, 세계를 깜짝 놀라게 했던 그때를 기점으로 세계인의 눈에 비친 한국은 달라지기 시작했다. 박지성, 박태환, 김연아와 같은 한국의 스포츠 스타에게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면서 세계인의 인식 속에 한국이라는 나라의 존재감이 서서히 부상하기 시작한 것이다. 삼성이나 현대와 같은 기업들이 긴 세월에 걸쳐 구축해놓은 경제 강국으로서의 이미지가 단단히 저변을 구축하고 있던 힘도 작용하였겠지만 ‘문화’의 힘이 그 결실을 얻도록 해주었다는 점에 이의를 달 사람은 없을 것이다.

    2009년 말 어느 날 동아일보 출판국의 편집 디렉터로부터 ‘한식’ 책을 하나 프로듀싱 해달라는 제안을 받게 되었다. ‘한식 세계화’의 취지에 동참하여 제대로 된 한식 책을 하나 만들어 이듬해인 G20 정상회담의 시점을 통해 세계에 알리겠다는 취지였다. 나로서는 너무도 반가운 제안이 아닐 수 없었다. 유학시절 일본이 자국의 문화를 알리는 데 디자인이 얼마나 큰 역할을 하는지를 목격하며, 한국의 디자이너로서 북 프로듀서로서 나도 언젠가는 꼭 그 소임을 다하리라 마음먹었던 ‘한식’에 대한 나의 뜻을 실천할 기회가 드디어 와주었다는 점에 감격스럽기조차 하였다.

    <Korean Food, The Originality>, <Korean Food, The Impression>

    나는 한식을 다룬 그간의 책들이 지닌 문제점을 보완함과 동시에 그와는 본질적으로 다른 접근으로 한식 문화를 세계인에게 감동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기획을 시작하였다. 그간의 한식 책들, 특히나 해외시장을 염두에 두고 기획한 영문판의 책들은 너무 권위적이거나 학문적인 방향으로 치우쳐 있고, 게다가 요리책의 성격을 띠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요리 자체에 관심을 가지지 않은 일반인들에게 일상의 한식문화를 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고 보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식이 가진 문화적 배경은 결코 가볍게 지나칠 수 없는 한식만의 차별화된 콘텐츠이므로 이를 격식에 맞게 담아내는 일도 소홀히 할 수는 없는 부분이었다. 가벼이 대할 수 없는 프로젝트이긴 하지만 오랜 시간 가슴과 머릿속에 익혀왔던 생각이라 기획을 구체화하는 일은 그리 어렵지 않았고, 2권의 책으로 정리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한식은 오랜 역사를 통해 숙성된 문화의 깊은 뿌리를 지니고 있는 만큼 그 근원을 찾아 한식의 독창성을 풀어나가는 내용은 ‘Korean Food- The Originality’라는 제목으로 엮기로 하였다. 이에 더하여, 음식은 눈으로 맛으로 즐기는 일인만큼 누구에게나 어렵지 않게 ‘먹고 싶은 음식’으로 다가갈 수 있도록 다양한 장르의 한식 레스토랑을 중심으로 한식의 다양한 메뉴를 소개하는 방법을 취하여 ‘Korean Food- The Impression’이라는 제목으로 이를 엮기로 하였다. 일상생활 속에서는 구경조차 어려운 고급 한정식을 중심으로 기획되어 있던 그간의 한식 책이 지닌 고정관점을 넘어, 생활 속 한식을 중심으로 현대화된 퓨전 한식은 물론, 떡볶이나 김밥과 같은 거리 음식에서 편의점에서 먹는 컵라면까지, 오늘날 우리에게 익숙한 한식을 총망라하여 소개하고자 하는 바람이 있었다.

    한식에 담긴 문화적 배경은 음양오행(陰陽五行)의 철학을 바탕으로 ‘약식동원(藥食同原)’이라는 믿음을 기본으로 삼고 있는데, 음식과 약은 그 근원이 같다는 의미로 ‘좋은 음식은 곧 약과 같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음식의 재료가 지닌 고유의 색을 다시 오방색으로 구분하여 각 색과 맛이 오장육부의 신체기관을 어떻게 튼튼하게 보호할 수 있는지, 그것들이 상호 간에 어떻게 조화를 이루어야 맛과 효능이 뛰어난 음식이 될 것인지를 연구해온 것이 바로 한식의 역사 속에 축적한 차별화된 문화적 가치이며 깊이이다. 제철에 나온 가장 좋은 재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절기 음식’이 발달한 것도 이와 깊은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며, 일찍이 ‘발효’의 과학을 발견한 한국인들의 유별난 장 문화, 김치 문화, 술 문화 역시도 그 배경은 다르지 않을 것이다.

    1권 <Korean Food, The Originality> 내지
    2권 <Korean Food, The Impression> 내지

    여기에 더하여 나는 한식의 ‘식사방법’에 대해 깊은 관심이 있었는데, 서양식이나 일식, 심지어 중국식과도 전혀 다른 우리만의 독특한 식사 방법에 관한 관심이 바로 그것이었다. 상추쌈이나 비빔밥, 국밥과 같은, 서로 다른 재료들을 섞어 먹기 위해 쌈을 싸거나 비비거나 말아서 먹는 방법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에 대한 의문으로 시작한 그 관심은 처음에는 다소 혼란스러운 점이 없지 않았다. 식사예절의 관점으로만 보자면 그다지 ‘고급스러워’ 보이지 않는 게 분명한 이 독특한 식사 방법을 문화적으로 자랑할만한 일인지 아닌지 판단이 잘 서지 않았다. 갈비를 굽든 삼겹살을 굽든 상추에 싸서 입이 찢어져라 한입에 밀어 넣어야 제대로 먹는 것 같고, 밥 위에 곱게 얹은 나물들을 고추장과 함께 전투적으로 비벼 한 숟갈 그득히 입으로 퍼 날라야 제맛을 음미할 수 있으며, 정갈하게 담긴 밥과 국을 마치 ‘개밥’처럼 한 그릇에 합쳐 퍼먹는 그 모습을 전혀 괘념치 않는 한국인의 이 고상하지 못한 식사문화를 도대체 어떻게 설명을 해야 할지,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디자이너의 입장에서는 몹시도 난처한 일이었다.

    그러나 세월을 훌쩍 뛰어넘어 세계의 20대 경제 강국의 정상들이 서울로 모여드는 시점에 맞추어 한식 문화를 널리 알리기 위한 책을 기획하는 시점에 이르렀을 즈음 한식이 지닌 식사문화에 대한 나의 오래된 의문은 분명한 입장을 통해 명쾌하게 정리가 되었다. 음식을 따로따로 먹지 않고 섞어 먹는 것은 서로 다른 재료들의 조합을 통해 얻게 되는 맛에 대한 ‘호기심’과 음양오행의 조화를 실천하기 위한 ‘창의적 실험’의 과정을 통해 얻게 된 남다른 방법론이라는 점을 비로소 깨닫게 된 것이다. 색의 조화를 비롯하여 향기의 조화, 식감의 조화가 어떻게 색다른 맛을 창조해낼 수 있는지를 연구하는 음식의 문화에 있어서 만큼은 긴 세월 수많은 음식 재료의 궁합을 실험하며 쌈 싸먹고, 비벼 먹고, 말아먹어 보았던 한국인의 오랜 경험을 따라올 자가 없을 것이라는 점을 주장하기에 한치의 주저함도 남아있지 않았다.

    이 두 권의 책은 한국의 디자이너로서 자국의 문화를 세계에 알리는 데 기여하리라 마음먹었던 오래된 소임을 실천할 기회가 되어 주었고, 한식문화 속에 숨어있던 한국인의 창의성을 새롭게 발견하여 이를 책으로 엮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두고두고 기쁘게 회상할 일이 되지 않았나 싶다.

    *책에 대한 기사 참조:바로 가기

    1권 <Korean Food, The Originality>

    2권<Korean Food, The Impression>

    1판 1쇄 발행_ 2010. 7.1

    발행처_ 동아일보

    copyright ©2010 동아일보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프로듀서: 이나미(스튜디오 바프)

    디자이너: 연지영(스튜디오 바프)

    포토그라퍼: 김덕창(스튜디오 다), 동아일보 출판국 사진팀

    푸드 스타일리스트: 김정민

    에디팅 디렉터: 이기숙(동아일보 출판국)

    에디토리얼 라이터: 한경심

    에디토리얼 매니저: 신경화

    이나미

    현재 스튜디오 바프(studio BAF) 대표,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부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2009년 광주디자인비엔날레, 2010년 대한민국공공디자인엑스포 총괄 기획,

    2012년부터 서울 시민청 마스터플랜 총괄 기획과 시민청결혼식 기획에 참여하고 있다.

    Popular Series

    인기 시리즈

    New Series

    최신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