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작 〈아메리칸 사이코〉는 1980년대 경제적 호황을 맞이한 뉴욕을 배경으로 한다. 세계 경제의 중심이라고 일컫는 월스트리트.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을 나와 잘나가는 비즈니스맨이 된 27세의 패트릭 베이트만(크리스찬 베일 분). 그와 친구, 동료 들은 예약이 어렵다는 고급 식당이나 회원제 클럽을 옮겨 다니며, 시답지 않은 이야기를 늘어놓을 뿐이다. 그러나 사실 이 한가한 여피족(yuppie) 젊은이는 금발의 미인들과 데이트를 즐긴 후에 자신이 좋아하는 음악을 틀어두고 그들을 잔혹하게 살해하는 사이코패스다.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완벽한 자기 관리와 자기애로 똘똘 뭉친 이 사이코패스 살인마는 점차 아주 사소한 것에서도 살인 충동을 억제하지 못한다.
그 대표적인 계기가 바로 ‘명함’이다. 일반인이라면 그깟 명함에 살의를 느끼냐고 할지 모르지만 패트릭에게는 그냥 지나칠 수 없는 부분이다. 사실, 이 대목에서 명함을 디자인해본 디자이너들은 영화 속 내용과는 별개로 그를 조금은 이해할 수도 있을 것이다(물론 살의는 빼고). 그들의 명함을 한번 자세히 살펴보자.
여느 때처럼 모여 시시한 수다를 떨던 사내들. 그들 앞에 요즘 잘 나가는 폴 알렌(자레드 레토 분)이 다가와 명함을 한 장 주고 간다. 주인공 패트릭도 인쇄소를 닦달해 갓 뽑아낸 따끈따끈한 명함이라며 자기 것을 꺼낸다. 동료들이 멋지다며 감탄하자 “상아 빛 재질이고 서체는 [실리안 레일(Silinan Rail)]이야”라고 으스댄다. 친구들도 뒤질세라 서로 명함을 꺼내 자기 것이 더 멋지다고 자랑하기 시작한다.
다른 친구는 달걀 껍질이 섞인 재질이라며 제 명함을 자랑하고, 또 어떤 친구는 제 명함의 테두리 처리와 돋을새김 폰트까지 거론해 가며 한술 더 뜬다. 이에 속이 뒤틀린 패트릭이 아까 폴 알렌이 주고 간 명함이나 보자고 한다. 폴 알렌의 명함은 패트릭의 속을 더욱 뒤집어 놓는다. 멋진 색깔과 품위 있게 두툼한 폰트. 거기에 워터마크(지폐의 숨은 그림과 같이 종이를 만들 때부터 넣은 위조 방지 무늬)가 들어 있는 재질까지, 그야말로 완벽하게 보인다. 모두 머쓱한 표정으로 자신들의 명함을 도로 집어 넣는다. 영화 속 주인공의 표정을 보면 명함 한 장에 우쭐대다 나락으로 떨어지는 감정이 아주 실감나게 그려진다.
이 상황을 디자이너의 시각으로 보면 몇 가지 재미있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우리나라와 달리 영화 속에서는 명함을 제각기 마음대로 만든다는 것. 종이 재질도 다르지만 폰트가 다 다르다. 회사의 로고타입은 아이덴티티 디자인에 의해 이미 정해져 있을 텐데 이름이나 연락처와 같은 폰트를 쓰고 있다. 월스트리트의 큰 금융 회사라면 분명 그에 걸맞은 아이덴티티 디자인 회사에 의뢰했을 것이고, 전용서체도 그에 맞게 정해져 있을 것이다. 현실에서는 있을 수 없다. 더구나 수십억대 연봉을 받는 그들이 사소한 명함 디자인에 이리도 관심과 조예가 깊다니···.
둘째, 패트릭이 자기 명함에 쓰인 폰트가 [실리안 레일]이라며 아는 체를 하는데 이런 이름의 서체는 없다. 〈아메리칸 사이코〉의 원작 소설 작가가 폰트 이름을 허구로 지어낸 것이다. 영화 속 패트릭의 명함에는 실제로 [가라몬드 클래식(Classical Garamond)](1500년경) 스몰캡 서체가, 폴 알렌의 명함에는 [코퍼플레이트(Copperplate)](1901)다. 또 다른 두 친구, 데이비드와 티모시의 명함에 사용된 서체는 각각 [보도니 클래식(Bodoni Classic)](1800년경)과 [헬베티카(Helvetica) 레귤러](1957)였다. 후반부에 명함 자랑을 하다가 죽을 뻔한 얼간이 루이스의 명함은 얼간이답게 어설픈 폰트를 사용하고 있다.
여기서 누구의 명함이 가장 적절하게 디자인된 것일까? 정답이 있는 질문은 아니지만 타이포그래피와 명함 디자인의 원칙을 따라가 보면 답이 보인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이들이 다니는 회사 ‘피어스 앤 피어스’의 성격이다. 거액 투자금을 받아 운용되는 금융 회사의 성격과 어울리는 폰트를 찾아야 한다. 전통과 신뢰감을 주는 폰트가 쓰인 쪽은 누구의 명함일까. 얼간이 루이스의 명함은 물론 제외다.
어찌 보면 서체가 탄생한 연도순이 답이다. 가장 젊은 서체 [헬베티카]를 가늘게 사용한 것은 너무 모던해 보인다. 경쾌하지만 새내기 같은 이미지다. [코퍼플레이트]는 ‘동판’이라는 이름처럼 중공업 이미지를 가진다. 그리고 [보도니]는 [가라몬드]와 함께 오래되고 전통적인 서체이지만 패션의 이미지가 강하다. [보도니]가 갖는 이미지는 잡지 『보그』나 브랜드 ‘조르지오 아르마니’처럼 패션 쪽 로고에 많이 쓰인다. 심지어 알파벳권 사람들은 조르지오 아르마니의 간판만 봐도 이탈리아를 느낀다고 한다.
사실, 디자이너 입장에서 보자면 주인공 패트릭이 가장 적절한 서체를 사용한 것이다. 재질 면에서도 다른 친구들은 너무 튀는 데 반해, 상아 빛 재질에 [가라몬드]를 다크브라운 색 잉크로 형압 인쇄한 패트릭의 명함은 고급스럽고 신뢰감이 간다. 영화를 보며 패트릭이 타이포그래피를 조금만 더 알았더라면 괜스레 손에 피를 묻힐 필요까지는 없었을 거란 싱거운 생각도 해보았다. 하긴, 패트릭 성질에 명함을 디자인한 디자이너가 난도질 당하지 않은 것만 해도 다행인지 모르겠다.
나 역시 때로는 패트릭처럼 명함을 보며 살의를 느낄 때가 있다. 물론 디자인 때문만은 아니다. 연말연시, 연하장용 발송 주소록을 작성하기 위해 수백 장의 명함을 살피다가 내가 살의를 느끼는 원인은 ‘우편번호’ 때문이다. 생각해보라. 우편번호가 없는 수십 장, 수백 장의 폼만 그럴싸한 명함의 주소를 우편번호 검색기로 일일이 검색하고 찾아 써 넣어야하는 쓸데없는 시간 소모를 말이다. 눈앞에 상대가 있었다면 손으로라도 쓰라고 명함을 집어던졌을지 모른다. 더 웃긴 건, 영문 주소에는 우편번호가 들어 있는 경우다. 그렇다고 그 회사가 외국을 상대로 하는 무역회사는 더더욱 아니었다. 도무지 영문을 모를 노릇이다.
나는 누구를 만나든 명함부터 주의 깊게 살핀다. 로고타입에 무슨 서체를 썼는지, 타이포그래피와 재질은 어떤지, 그리고 어떤 이야기를 담고 있는지. 아이디어가 넘치는 명함을 만나면 절로 미소가 지어진다. 처음 만난 클라이언트와 방금 주고받은 명함을 화제로 회의를 시작한다면 당연히 비즈니스도 부드러워질 것이다.
명함은 한 장짜리 포트폴리오라는 말이 있다. 특히 디자이너나 디자인 회사의 경우는 백 퍼센트 그렇다. 사용된 서체와 타이포그래피, 재질, 내용 등이 그 사람과 회사를 대변하는 것이다. 회사 성격과 어울리지 않는 서체와 엉성한 자간, 배치 등은 절대로 신뢰감을 줄 수 없다. 명함의 가장 중요한 덕목은 신뢰다. 기억에 남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과한 재질과 디자인을 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 패착이다. 그보다는 업체의 성격을 신뢰감 있게 제대로 전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그리고 우편번호를 잊지 말라. 살고 싶다면···.
장성환
디자인 스튜디오 203 대표. 한국시각정보디자인협회(VIDAK) 타이포분과 이사, 디자인단체 총연합회 실행위원을 역임했다. 홍익대학교 재학 시절 홍대신문 문화부장을 맡으며 글을 쓰기 시작했다. 졸업 후 『리더스 다이제스트』에 입사해 잡지를 만들며 서체 디자인 작업을 했고, 이후 『주간동아』 및 『과학동아』 아트 디렉터로 활동했다. 『시사저널』, 『까사리빙』, 『빅이슈 코리아』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했으며, 서울대학교·서울여자대학교·호서대학교 등에서 편집 디자인 강의를 해왔다. ‘홍대앞’(서교동·망원동·연남동·합정동 등 서울 마포구 홍익대학교 일대를 일컫는 고유 명칭)에 대한 무한한 애정으로 2009년 홍대앞 동네 잡지 『스트리트 H』를 창간하여 홍대앞이라는 역동적 장소와 사람들의 이야기를 기록하는 중이다.